학술논문
우울증을 동반한 진폐증 입원환자의 정신병리와 대처방식
이용수 3
- 영문명
-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Symptoms and Coping Style in Hospitalized Pneumoconiosis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박새한 박기창 안정숙 한윤경 민성호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10권 제2호, 95~10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장기간 요양 및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진폐증 입원환자에서 우울증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정신병리의 특성을 알아보 고자 하였다.
방 법:
태백시 소재 산재병원에 1개월 이상 입원중인 진폐증환자 85명을 대상으로 해밀턴 우울평가척도(HAM-D), 간이정신증상척도 (SCL-90-R),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대처방식척도(Ways of Coping Checklist)를 시행하였으며 대상자들을 해밀턴 우울평가척도(HAM-D)의 18점을 절단점으로 우울증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해 사회 인구학적 특성, 재원기간, 대처방식의 특성및 정신병리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연구대상 85명 중 22명(25.9%)이 해밀턴 우울평가척도에서 18점 이상으로 우울장애를 시사하였다. 우울증 환자군에서 문제 초점적 대처방식과 대처방식 총점이 낮았으며 나이가 많았고 교육정도가 낮았다. 진폐증 입원환자에게 나타나는 정신병리는 신체 화, 우울, 공포불안, 불안의 순서로 많았다.
결 론:
장기입원 진폐증환자에게는 우울증을 비롯한 정신병리가 많이 나타나는바 치료효율을 높이고 재활을 돕기 위해서는 정신증상을 조사하여 문제 초점적이며 적극적인 대처방식을 함양시키는 정신사회적 치료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We examined the presumptive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ping style in hospitalized pneumoconiosis patients.
Method:Eighty-five hospitalized pneumoconiosi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AM-D) scores;Group A consisted of twenty-two patients with HAM-D score higher than 18, Group B had sixty-three patients with HAM-D score lower than 18. All of them were interviewed with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AM-D) and completed the Symptom Checklist-90 items-Revised(SCL-90-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Ways of Coping Checklist. Days of hospital care, socio-demographic data and three evaluation scor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
Results:Twenty-two patients’ HAM-D scores were higher than 18. Group A patients were older and their problem focused coping scores and educational levels were lower. Hospitalized pneumoconiosis patients showed somatization, depression, phobic anxiety and anxiety, in order.
Conclusion:In our study, pneumoconiosis patients showed depressive symptoms and inadequate coping strategie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