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학생 창의성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이용수 70

영문명
Explor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Creativity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 Context-Specific Approach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안동근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23권 제2호, 63~8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의 지식구조를 맥락 특수적 관점에서 탐구하고 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20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중 대학생의 창의성을 다룬 243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579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출현빈도가 3회 이상인 54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중심성(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과 커뮤니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창의성, 대학생, 일상적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융합역량 등이 높게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의 경우, 창의성, 대학생, 일상적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적 인성 등이 높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분석결과, 일상적 창의성(창의적 인성, 학습몰입,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사고, 진로성숙도), 대학생(창의인성교육, 인성, 창의적 능력, 핵심역량, 창의성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문제해결, 창의적 성향, 공감, 학습동기, 창의성 역량), 창의성(창의융합역량, 창의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간호대학생, 창의역량)을 중심으로 하는 4개의 하위 커뮤니티가 도출되었다. 각 하위 커뮤니티가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창의성의 맥락 특수적(학업적, 진로발달적, 교육적, 사회적, 일상적) 요인들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creativity from a context-specific perspective and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the studies. A total of 579 keywords were selected from 242 research papers in South Korea during the past 20 years from 2003 to 2022 that considered college students’ creativity. Then, a total of 54 keywords represented more than three times among them were analyzed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including centrality analysis, and communit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were creativity, college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o on. The keyword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creativity, college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creative problem solving, creative character, and so on. In the results of community analysis, four sub-groups were formed focusing on everyday creativity (creative character, learning flow,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maturity), college students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creative ability, core competence, and creative educ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blem solving, creative tendency, empathy, learning motivation, and creativity competency), and creativity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creative leadership, self-efficacy, nursing students, and creative competency).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text-specific (academic, career developmental, educational, social, and everyday) factors of creativity that each sub-group was mainly dealing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동근. (202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학생 창의성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23 (2), 63-89

MLA

안동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학생 창의성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23.2(2023): 63-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