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경교육강사의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1
- 영문명
- A Study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 김미향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8권 제1호, 47~7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교육이란 각종 환경현안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교육이다. 우리나라 환경교육은 학교의 교과교육과정 속에서 환경교사가 진행하는 학교 환경교육과 학교 밖 지역사회에서 환경교육강사가 진행하는 사회 환경교육으로 이원화되어 발전해 왔다. 그런데 현재 학교 환경교육이 상당히 위축된 상황인 반면 지역사회에서의 환경교육 수요는 갈수록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교 밖 환경교육강사는 학교 밖 지역사회에서뿐만 아니라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에게 환경교육을 하면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질적인 환경교육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 밖 환경교육, 특히 이를 진행하는 환경교육강사에 관한 연구는 아직 교육 영역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강사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6월에서 9월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이들의 교육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환경교육강사들은 다양한 계기를 통해 교육을 시작하였으며 강사에 따라 교육의 내용도, 교육 경험을 통해 성장해 나간 모습도 매우 다양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환경교육이 담보해야 할 다양성의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게 해 주었다. 하지만 이들은 이러한 다양성과 함께 모두 공통적으로 각기 차별적인 환경적 사안에 대해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이 그 과정에서 보여준 높은 자발성은 자기성장의 중요한 발판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개별 환경교육강사의 고유성이 환경교육에 다양하게 반영되고 또 그렇게 풍부해진 교육경험이 또다시 개별 환경교육강사의 고유한 교육역량에 다양성을 더해가고 있었다. 따라서 환경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환경교육강사의 고유성과 어우러져 생산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사회적, 교육적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다른 한편, 지금과 같은 다양성과 유연성을 담보하면서 동시에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교육 운영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 또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Environmental education aims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around all kinds of pending environmental issues. In South Korea, environmental education has developed in a dual system betwee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provided by environment teachers as part of the school's subject curriculums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vided by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ion in the community outside the school. Today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has shrunk considerably while nee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ommunity grow day by day. In this situ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outside the school provide student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by visiting schools themselves as well as in the community outside the school, covering most of practic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tudents. In the area of education, there have been no full research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outside the school and especially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providing the education.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by selecting four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in June~September, 2021.
The findings show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took various chances to begin providing education and there was a high degree of diversity in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the aspects of growth through educational experiences among the instructors. These findings once again demonstrated the value of diversity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guarante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all made many efforts to provide the right education on all sorts of discriminating environmental matters while pursuing diversity. A high level of spontaneity demonstrated by the instructors in the process became an important foothold for their self-growth.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was reflect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various ways, and their enriched educational experiences added further diversity to their unique educational capabilities.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social and educational supports to help the content and metho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develop in a productive manner in harmony with the uniqu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s for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guarantee diversity and flexibility like today and, at the same time, ensure systematic long-term edu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