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석에 필요한 교사지식
이용수 27
- 영문명
- Teacher Knowledge Necessary to Analyze Student's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강향임 최은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9권 제2호, 319~34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생들의 오류에 대한 교사의 정확한 해석과 설명은 이후 교수학적 처치의 방향을 결정한다. 학생들의 개념적 학습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교사지식은 전문내용지식(SCK)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리수 개념과 표현에 관한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과 설명을 분석하여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석에 필요한 교사들의 SCK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리수의 개념과 표현에 대한 학생들의 오류가 반영된 교사용 질문지를 개발하여 세 명의 현직교사에게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제시한 무리수 표현의 집중과 간과 현상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현된 SCK는 근호라는 기호 표현에 고착된 특징이 있다는 것과 유ㆍ무리수 판단 기준에 대해서 교사들도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분수 표현’과 ‘소수 표현’이 동시에 제시된 상황에서 소수 표현에 더 집중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류를 해석하는 교사들의 수학적 판단이 학생들의 반응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과 무리수의 수직선 표현으로의 번역에 대한 해석에는 무리수의 개념-과정 관점과 실무한의 관점에 대한 내용지식이 가장 중요한 내용지식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hope to reveal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and its features necessary to analyze student's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The instruments and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o 3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th various education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were characterized by the fixation to symbolic representation like roots when they analyzed the concentration and overlooking of the representations of irrational numbers. Secondly, we observed the centralization tendency on symbolic representation and the little attention to other representations as the standard of judgment about irrational numbers. Thirdly, In-service teachers were influenced by content of students' error when they analyzed the error and difficulties of students. Lately, we confirmed that the content knowledge about the viewpoint of procept and actual infinity of irrational numbers are most important during the analyzing proces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결과분석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