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lationship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ize of Males in Their Twenties
이용수 24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ize of Males in Their Twenti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Taehoon Kim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1호, 53~6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any relationships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ize among males in their twenties.
Method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a year from August 2015 to July 2016. Participants were 100 males, of which 50 were white American males and 50 were Korean males in North Carolina, United States of America, who are aged between 20 and 29 years old. TC2-19 3D body scanner was us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body size. A descriptive analysis of data for demographics and body satisfaction was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techniques and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 24 for Window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who have lower BMI, WHR, WCR, or WSR tend to perceive higher evaluations of their appearance, pay more attention to their appearance and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body areas. Participants who have higher BMI or WHR tend to be more anxious about being overweight. Participants who have lower weight, lower shoulder-to-shoulder and lower girth values tend to show higher AE, AO, and BAS. Participants who have a higher shoulder-to-shoulder, higher upper arm girth, higher chest girth and higher waist tend to have more preoccupation about being overweight.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help fashion businesses consider targeting males’ body dissatisfaction in the design of their products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ize of targeting mal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s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년근로자의 노동시장 지위변동 유형이 시간당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VR) 패션 스토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휴리스틱 정보처리과정의 구조모델
- 코로나 시대, 장애인의 삶과 장애인 복지 실천의 변화에 대한 고찰
- 청주지역 남자중학생의 교복 착용 및 세탁관리 실태 조사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방검 성능을 부여한 차세대 경찰 외근조끼 디자인 개발
- Relationship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ize of Males in Their Twenties
- 응용학문으로서 의류학을 위한 융복합 연구 방향 제안
- 남성 정장 재킷의 대량맞춤생산을 위한 체형 분류 방법
-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혼자 식사(혼밥) 섭취 실태 및 관련 식행동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잠재프로파일 분석에 따른 중학생의 교우관계 특성 유형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의 사랑에 관한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