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도르노(T. W. Adorno)의 역사철학적 시각으로 본조성(Tonality) 개념

이용수 10

영문명
Concept of Tonality in View of T. W. Adorno's Perspective on Historical Philosophy
발행기관
한국서양음악학회
저자명
이은수
간행물 정보
『서양음악학』제17권 제1호, 83~11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1.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아도르노의 저작들 가운데서 발견되는 조성에 대한 단편적인 분석들을 계몽의 변증법이라는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면밀히 살펴보고, 나아가 재해석하는것을 목적으로 했다. 아도르노의 철학과 미학 전반에서 주장되는 계몽의 동일성 사유 비판과비동일성의 추구는, 그의 조성에 대한 분석에서, 특히 베토벤의 중기와 후기에서 나타나는 소나타 분석에서 드러나고 있다. 비록 아도르노가 “조성이 곧 음악에서의 계몽의 원리이자체계”라고 언급한 부분은 그의 저작 어디에도 없지만, 그의 철학의 동인(動因)인 계몽의 변증법과 그가 파악하는 음악 예술의 고유한 특질을 씨실과 날실로 배치했을 때, 조성이 다름아닌 사회와 역사에서 드러나는 계몽의 역할을 음악 안에서 수행하는 동시에 그 결과인 전체성이자 총체라는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첫째로, 조성은 인간의 역사에서 계몽이 하는 역할 그대로 음악에서 발견되는 인간 이성과 합리화의 도구이자 그것의 결과로서의 총체이다. 그것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효율적인 처리방식과 특정한 개체의 다른 개체들에 대한 우위가 정당화되며 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가진다는 것, 음 혹은 화음들이 그 자체의 특징, 곧 고유한 울림에 의해서가 아니라 기능에 의해 분류되고 규정된다는 것이다. 둘째로 이러한 조성의 체계성과 음악에 대한 지배는 또 다른 음악적 이성의 산물인 형식, 특히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을 통해 잘 드러난다. 아도르노는 시대배경적 측면과 음악 내적인 측면 모두에서 조성의 동일적 사유가 베토벤의 중기 양식의 소나타 형식에서 달성된다고 보았고, 그것을 관념론 철학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는 헤겔의 철학과 유비한다. 또한 베토벤의 후기 양식에서 이러한 동일적 사유의 성취가 음악 내적으로 의도적으로 회피되는 모습을 발견하고 베토벤의 음악이 헤겔의 철학보다 진실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후기 소나타 형식 안에서 나타나는 전체에 대한 저항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조성 음악의 체계 아래에서는 조성이 전반적인 음악의 정체성과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조성의 본성에 대한 통찰은 아도르노의 무조음악과 12음 음악을 위시한 신음악 옹호와 20세기에 잔재해 있는 조성음악과 대중음악 비판의 근거로도 해석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dorno's fragmentary analyses of tonality in hisworks based on his critical mind on the dialectic of enlightenment and to reinterpret them. Eventhough Adorno did not mention “In music, tonality is the principle and the system ofenlightenment” in his works, in respect that dialectic of enlightenment as his philosophical motivesand his understanding of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music, it can be inferred that he thoughttonality in music played a role as enlightenment in society and history. Firstly, tonality is aneffective treatment system, and plays a role of justification of dominance for an entity. Second,non-identity thinking is implied in the sonata allegro form of the late period while identity thinkingis indirectly represented in that of the middle period of Beethoven. Even though the resistanceagainst totality appeared in the late sonata style, tonality still has overall influences on the entiresystem of music. This was the basis for Adorno to promote the philosophy of new musics,including atonal and twelve-tone music, and to judge tonal and popular music in the twentieth century.

목차

1. 머리말
2. 본론
3.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수. (2014).아도르노(T. W. Adorno)의 역사철학적 시각으로 본조성(Tonality) 개념. 서양음악학, 17 (1), 83-116

MLA

이은수. "아도르노(T. W. Adorno)의 역사철학적 시각으로 본조성(Tonality) 개념." 서양음악학, 17.1(2014): 83-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