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코넛 기반 활성탄 필터의 라돈 제거 효율
이용수 49
- 영문명
- Radon Removal Efficiency of Activated Carbon Filter from Coconut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안윤진 김기섭 김태환 김상록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6권 제2호, 141~14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Korea Institute of Radiological and Medical Sciences plans to produce 225Ac, a therapeutic radio-pharmaceutical for precision oncology, such as prostate cancer. Radon, a radioactive gas, is generated by radium, the target material for producing 225Ac. The radon concentration is expected to be about 2000 Bq·m-3. High-concentration radon-generating facilities must meet radioactive isotope emission standards by lowering the radon concentration. However, most existing studies concerning radon removal using activated carbon filters measured radon levels at concentrations lower than 1000 Bq·m-3. This study measured 222Rn removal of coconut-based activated carbon filter under a high radon concentration of about 2000 Bq·m-3. The 222Rn removal efficiency of activated carbon impregnated with triethylenediamine was also measured. As a result, the 222Rn removal amount of the activated carbon filter showed sufficient removal efficiency in a 222Rn concentration environment of about 2000 Bq·m-3. In addition, despite an expectation of low radon reduction efficiency of Triethylenediamine-impregnated activated carbon, it was difficult to confirm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ctivated carbon can be used as a radioisotope exhaust filte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riethylenediamine is impregn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primary data when building an air purification system fo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 facilities with radon concentrations of about 2000 Bq·m-3.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Predictive Modeling of I-131 Radioactivity Based on Machine Learning
- 디지털 방사선에서 격자 비에 따른 영상변화에 관한 연구
- 병원 안전 심볼의 형태와 기억과의 관계
- 코코넛 기반 활성탄 필터의 라돈 제거 효율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전산화단층영상 기반 조직 생검 보조기구 개발
-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에 대한 진단참고준위에 관한 연구
- 광학 전산화단층촬영 스캐너 사용을 위한 중합체 겔과 BANGTM 겔 선량계의 특성 비교
- 두부 CT 검사 시 테이블 높이에 따른 선량과 화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