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00년대 반가의 혼행 음식 및 관련 공예품 연구

이용수 14

영문명
A Study on Food and Related Crafts for Wedding Procession of Noble Families in the 1800s: Focused on 『Jeungbosalyepyeonlam』 and 『Bongjeobyolam』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최배영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59집, 71~1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800년대 반가의 혼행 절차가 기록된 『증보사례편람』과 혼행 음식을 살펴볼 수 있는 『봉접요람』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상차림별 음식과 관련 공예품을 재구성하여 문화적 특징을 규명하는 데 있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랑이나 신부와 동행해 길을 나선 연로한 상객을 위한 주안상은 피로를 풀고 소화를 돕는 배려가 담겨 있었다. 둘째, 신랑 혹은 신부를 위한 큰상은 사돈집으로 보내져 양가의 솜씨와 복됨을 기리고 서로의 음식 풍습과 맛을 알게 되는 지혜가 깃들었다. 셋째, 신랑・신부의 첫날 저녁상은 겸상으로 해로를 기원했고, 밤참상은 이들의 화합을 상징하였다. 넷째, 신부집에서는 신랑을 위한 조반 죽상, 점심상이나 참상, 저녁상에 좋은 재료를 선별해 건강을 도모하였다. 다섯째, 신랑의 다과상에 놓인 매화차는 신부의 친척들과 처음 인사를 나누는 자리에서 운치 있는 담소와 완상의 소재가 될 수 있었다. 이러한 혼행의 각 상차림은 식기, 소반, 식지와 보자기 등의 공예품이 어우러지는 문화적 소산이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1800년대 반가의 혼행 상차림은 혼례-음식-공예품을 복합적으로 연결하는 문화콘텐츠의 원형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amine 『Jeungbosalyepyeonlam』, which recorded the wedding procession of noble families in the 1800s, and 『Bongjeobyolam』, which recorded wedding food, and reconstruct food table setting and related crafts to identify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able setting for elderly guests accompanying the groom or the bride contained consideration to relieve fatigue and aid digestion. Second, the big table for the groom or the bride was sent to the in-laws' house, honoring the cooking skills and happiness of both families and indwelling the wisdom of learning each other's food customs and tastes. Third, the table settings for dinner and late-night snack on the first day of the bride and groom symbolized their harmony. Fourth, the bride's family promoted the groom's health by selecting good ingredients for an early breakfast, lunch or snack, and dinner table setting. Fifth, plum blossom tea placed on the groom's tea table could be the subject of an elegant conversation at the first meeting with the bride's relatives. Each of these table settings was also a cultural outcome in which crafts such as tableware, soban, oiled paper cover, and bojagi were harmonized. In conclusion, the table setting for the wedding procession of noble families in the 1800s has significance that can be used as a prototype of cultural content that connects the wedding ceremony, food, and crafts complexly.

목차

Ⅰ. 서론
Ⅱ. 『증보사례편람』에 나타난 혼행 절차
Ⅲ. 『봉접요람』의 혼행 음식 및 관련 공예품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배영. (2023).1800년대 반가의 혼행 음식 및 관련 공예품 연구. 차문화산업학, (), 71-100

MLA

최배영. "1800년대 반가의 혼행 음식 및 관련 공예품 연구." 차문화산업학, (2023): 71-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