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변화하는 일의 형태에 따른 공유오피스 공간 디자인 연구 ╶ 국내 공유오피스 사례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106
- 영문명
- The Study on Co-Working Space According to the Changing form of Work ╶ Focusing on the Domestic Co-Working Space Case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하시은(Ha, Si Eun) 이동민(Lee, Dong M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5 No.2, 85~9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유오피스의 공간디자인과 한계를 살펴 보고 변화하는 일의 형태에 따른 공유오피스 공간디자인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래 공유 오피스의 모습을 그려보고, 모색하고자 한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유오피스의 이용은 활발해지고 있다. 기업이 재택근무를 택하면서 디지털 노마드를 포함한 프리랜서의 비중이 늘고 있고 이들은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며 더 다양한 환경에서 일하고 원하는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고자 한다. 또한 대도시 중심에서 지방 중심으로 바뀌어가는 일의 개념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있는 공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연구를 위해 공유오피스의 현황과 사례를 탐구하고 현장답사를 활용해 공간디자인을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의 배경이 되는 일의 형태 변화에 대해 조사 하였다. 공유오피스의 현황을 기존에 연구된 선행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에 근거해 공용 업무 공간이 아닌 개인 위주의 업무 공간 사용 실태를 살펴보고 공간디 자인을 분석하였다. 사례지 탐방에 기준이 되는 공간디 자인 분류 기준표를 만들었다. 국내 공유 오피스 중 총네 곳의 탐방지를 선정하였으며 총 7일간 방문하고 이용 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집무실, 패스트 파이브, 위워크, 무신사 스튜디오를 방문하여 각 특징과 공간디자인 및서비스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이에 근거하여 기존에 작성한 기준표를 토대로 다이어그램을 만들어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합 분석을 통해 업무 공간의 성장과 한계를 확인하였 으며 공유오피스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하기 위하여 가변성, 이동성, 다목적성으로 공간 요소를 분류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about the space design’s limitations of the shared office and the direction of the shared office space design according to the changing types of work is examined. Despite the economic downturn caused by the corona virus, the use of shared offices in Korea is increasing. As companies choose to work from home, the proportion of freelancers, including digital nomads, is increas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work shifting from the center of the metropolis to the center of the region, it seems that more research on spaces with various meanings is needed. For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shared offices were explored, and the space design was examined using field visits. First, the change in the form of work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was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shared office was investigated through previous researched cases.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space design by examining the actual use of personal work space rather than public work space. A standard table for spatial design classification was created as a standard for case site visits. A total of four domestic shared office tour sites were selected and visited and used for a total of 7 days.
They visited the office, Fast Five, WeWork, and Musinsa studios located in Seoul to summarize each feature, space design, and service. In addition, based on this, a diagram was created based on the previously prepared reference table so that the difference could be clearly identifi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the growth and limitations of the workspace were identified, and in order to explor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hared office, a conclusion was drawn by classifying space elements into variability, mobility, and versatil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태권도공연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탐색
- MZ세대의 운동 동기부여에 UX 디자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애플사의 'Fitness' 앱의 기능을 중심으로╶
- 영감의 연기를 위한 미하일 체홉 테크닉의 고찰
- 모바일 기기 UI 디자인의 방향 연구 ╶ 안드로이드의 미니멀 앱 아이콘 디자인을 중심으로╶
- Architectural Element Symbols in Hotel Design in Song Dynasty of China -A Case Study of the Design Practice of Garden Hotel in Xingtai City-
- 변화하는 일의 형태에 따른 공유오피스 공간 디자인 연구 ╶ 국내 공유오피스 사례지를 중심으로╶
- 중국 명·청 시대의 전통문양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산시성 핑야오 쇠고기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 시가화 유형과 PM10 미세먼지 관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 - 경기도 14개 시 사례를 중심으로 -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5 No.2 목차
- 일본의 대표적 현대 그래픽디자이너의 표현 특성과 미의식의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