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바일 기기 UI 디자인의 방향 연구 ╶ 안드로이드의 미니멀 앱 아이콘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UI Design of Mobile Devices ╶ Focusing on Android’s Minimal App Icon Desig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박서령(Park, Seo Ryeong) 이동민(Lee, Dong M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5 No.2, 73~8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디스플레이의 발달로 인해 UI 디자인의 중요성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곳곳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미니멀리즘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앱 GUI 요소 간의 디자인 차별성이 부족해지며 각각의 개성은 사라지고 요소 간의 경계도 모호해진 현시점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미니멀리즘적 UI 디자인은 현대의 가장 중요한 디자인 체계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이전의 스큐어모피즘 디자인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크기에서 현실 메타포 표현을 위해 필요 이상의 많은 픽셀들을 소모했다. 이는 모바일 기기와 같은 작은 디스플레이에서 매우 치명적인 단점이 되었고 모바일 기기가 대중 화되는 시기와 맞물리면서 더 픽셀을 적게 소비하는 단순한 디자인으로의 변화는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은 남용되고 오용되어 사용자의 사용성과 직관성을 떨어트리고 각요소 간의 개성까지 사라지게 만들면서 극도로 단순해 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잠시 멈춰 미니멀리즘 디자인의 본질을 되찾고 앞으로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봐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의 UI의 디자인 흐름과 변화 이유들을 살펴보고 현재의 UI 디자인이 가진 문제점을 도출할 것이다. 그 후 과한 미니멀리즘에서 벗어나기 위해 UI 디자인이 갖춰야 할요소들을 모색한다. 최종적으로는 각각의 요소들이 차별성을 가지며 다양한 디자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recent development of displays, people's attention i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UI design,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related to the problems of excessive minimalism that currently appear everywhere. Therefore,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the present time when the design between the app GUI elements lacks differentiation, each individuality disappears,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elements become ambiguous.
Minimalist UI design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systems of modern times. Previous scuremorphism designs consumed more pixels than needed for real-life metaphor representation at limited display sizes. This has become a very fatal drawback in small displays such as mobile devices, and it can be seen that a change to a simple design that consumes fewer pixels is inevitable as mobile devices become popular. However, these minimalist designs are being abused and misused, reducing user usability and intuition, and making individuality between each element disappear.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look at the design trends and reasons for changes in the UI so far and derive problems with the current UI design, away from ambiguity in the future. After that, we seek the elements that UI design must have to escape from excessive minimalism. Finally, I would like to study the direction in which each element can have differentiation and move toward various design directi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태권도공연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탐색
- MZ세대의 운동 동기부여에 UX 디자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애플사의 'Fitness' 앱의 기능을 중심으로╶
- 영감의 연기를 위한 미하일 체홉 테크닉의 고찰
- 모바일 기기 UI 디자인의 방향 연구 ╶ 안드로이드의 미니멀 앱 아이콘 디자인을 중심으로╶
- Architectural Element Symbols in Hotel Design in Song Dynasty of China -A Case Study of the Design Practice of Garden Hotel in Xingtai City-
- 변화하는 일의 형태에 따른 공유오피스 공간 디자인 연구 ╶ 국내 공유오피스 사례지를 중심으로╶
- 중국 명·청 시대의 전통문양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산시성 핑야오 쇠고기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 시가화 유형과 PM10 미세먼지 관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 - 경기도 14개 시 사례를 중심으로 -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5 No.2 목차
- 일본의 대표적 현대 그래픽디자이너의 표현 특성과 미의식의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