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헌 자료에 나타난 평양 교방 “노래서재[歌齋]” 연구

이용수 30

영문명
A Study on “Noraeseojae” in Gyobang, Pyongyang, found in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교방문화학회
저자명
신현규
간행물 정보
『 교방문화연구』1권 1호, 9~2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래서재’는 1924년 평양 기생학교가 설립되기 이전에 평양에 있었던 기생 교육 시설이 었다. 당시 경성에도 기생학교를 설립하고자 한 기록들이 많이 남아 있다. 평양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독립적인 기생 기예 교육의 전통이 있어서, 노래서재·가무학교·기생서재·기생학교 등에서 기생에게 음악과 노래를 교육시키고 있었다. 내외진담집의 ‘평양 기생학교’에서 방문한 곳은 ‘대흥면1리’로 신창리를 말한다. 그곳 노래서재는 신창리 27번지 ‘김해사 노래서재’로 추정된다. 기생 수가 7명이었고 ‘진홍’ 기생이 있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추측할 수 있다. 이 글에서의 ‘평양 기생학교’는 저자의 이방인 시각으로 노래서재, 즉 ‘가재’를 이해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기생학교’와 ‘노래서재’의 구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보고 싶은 것만 기억해서 서술한 셈이다. 특히, 노래서재, 즉 가재의 존재를 알려준 자료이기에 의의가 있다. 앞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가재’는 가객과 금객이 시와 시조를 읊는 서재라는 뜻으로 한양의 ‘노가재’를 예를 들 수 있다. 평양에는 주로 정가, 즉 가곡, 가사, 시조 등을 노래하는 서재로 기생들에게 이를 가르치는 ‘양성소’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처럼 기생의 음악과 춤을 매개로 활동함으로써 단절된 위기에 있었던 ‘여악’과 전통예술을 비롯한 민속 음악을 교육하고 전승한 공로가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Noraeseojae’[歌齋] was an educational facility for gisaeng in Pyongyang before Pyongyang’s gisaeng school was established in 1924. At that time, there are many records of trying to establish a gisaeng school in Gyeongseong.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 Pyongyang region has an independent tradition of gisaeng arts education, and music and songs are taught to gisaeng at song study, song and dance school, gisaeng study, and gisaeng school. The place visited in ‘Pyongyang Gisaeng School’ in Collection of Conversations with Inside and Outside is ‘Daeheung-myeon 1-ri’, which means Shinchang-ri. The song library there is presumed to be the “Kimhaesa Song Study” at 27 Shinchang-ri. It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re were seven gisaengs and that there was a ‘crimson’ gisaeng. The ‘Pyongyang gisaeng school’ in this article seems somewhat unreasonable to understand the song library, or ‘crayfish’, from the author’s stranger’s point of view. I did not properly understand the distinction between ‘Gisaeng School’ and ‘Norae Library’, and I only remembered what I wanted to see and described it.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 material that informs the existence of song library, that is, crayfish. As mentioned before, ‘Gajae’ means a study where singers and geumgaeks recite poems and sijos, and ‘Nogajae’ in Hanyang can be taken as an example. In Pyongyang, it was mainly a library for singing Jeongga, that is, Gagok, Gasa, Sijo, etc., and played the role of a ‘training center’ to teach gisaeng. In this way, it was reconfirmed that there was merit in educating and passing down folk music, including ‘Yeoak’ and traditional arts, which had been in crisis by being active through the music and dance of gisaeng.

목차

1. 문제 제기
2. 내외진담집(内外珍談集) 서지 내용 소개
3. 내외진담집(内外珍談集) 목차 분석
4. ‘平壤の妓生學校’ 내용 및 번역 소개
5. ‘노래서재’ 서술 내용 분석 및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현규. (2021).문헌 자료에 나타난 평양 교방 “노래서재[歌齋]” 연구. 교방문화연구, 1 (1), 9-27

MLA

신현규. "문헌 자료에 나타난 평양 교방 “노래서재[歌齋]” 연구." 교방문화연구, 1.1(2021): 9-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