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6장 마음과 세계

이용수 81

영문명
A Study on the Buddhist Mind Theory and its Implication for Peace in the Modern World
발행기관
한국민족사상학회
저자명
정천구
간행물 정보
『민족사상』제2권 제1호, 203~23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프로이트가 인간의 심층의식에 주목하여 심리학을 개척한 이후 현대사회과학에서도 심리분석이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불교에서는 오래전에 “모든 것은 마음이 지은 것”이라는 붓다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마음의 구조와 마음 닦는 방법이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불교는 마음을 심(心), 의(意), 식(識)으로 파악하고 이를 5가지 감각기관의 식, 분별하는 제6식, 자아의식으로서의 제7식, 그리고 저장식으로서의 제8 아뢰아식으로 분석하고 있다. 모든 현상은 8식에 저장된 식들이 인(因)과 연(緣)을 만나 발현되는 것이다. 닦음이란 8식의 순수한 부분이 오염된 부분을 정화하여 청정한 본심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붓다에서 시작되어 불교에서는 이렇게 청정한 본마음을 회복하여 이상적 상태인 열반에 이르는 수행방법이 정교하게 개발되었다. 핵심은 산란한 마음을 하나로 집중하는 지(止)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관(觀)의 수행인데 선(禪)에서 지와 관은 다른 말로 정(定)과 혜(慧)라 하며 이는 분리 수행이 아니라 함께 닦는 것(定慧雙修)이라고 한다. 대승불교는 자기 한 마음 만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마음, 남의 마음 구별 없이 마음속에 일어나는 모든 마음을 닦기 때문에 마음 닦는 일과 정치사회적 문제를 다스리는 일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정치사회적 문제들의 진단과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붓다의 마음 닦기는 크게 유용한 것으로 본다. 현대사회의 제 문제들이 인간의 본심에서 너무 멀어져 있기 때문에 인간의 청정한 본심을 회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Since Freud first elaborated the theory that mind is a complex energy system, many psychological analysis on politico-social subjects have been carried. In the ancient Orient, Buddhism developed an elaborated theory of mind and mind control techniques after the Buddha had declared that all is mind made. Mind is composed of eight different sorts of consciousness, namely five threshold consciousness, six sense, self consciousness, and no.8 consciousness in Buddhist mind theory. Every thing manifested itselffrom the eighth which is the storehouse of all the consciousness when every stock in it meets its cause and occasion. Buddhist mind control practice is to purify the contaminated part of the eighth consciousness with the help of its pure part thereby recover our pure and undefiled mind. Concentration(止 or 定) and contemplation(觀 or 慧)are the two pillars of the practice. The two should be practiced concurrently not separately. Mind should be concentrated and contemplated at the same time. In Mahayana Buddhism, the trainee's goal is to purify not only one's own mind but also every mind of living beings that arises in his mind. So mind control and practice in Mahayana system necessarily deals with political and global issues. Since almost every important issues in the modern world is contradictory with the pure human mind, it requires the recovery of the pure mind before we think of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is sense Buddhist theory and practice of mind would be very helpfu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litico-social problems in the modern world.

목차

Ⅰ. 서론
Ⅱ. 마음이란 무엇인가?
Ⅱ. 여섯 갈래 윤회의 길
Ⅲ. 마음 다스리는 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천구. (2008).제6장 마음과 세계. 민족사상, 2 (1), 203-232

MLA

정천구. "제6장 마음과 세계." 민족사상, 2.1(2008): 203-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