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2장 『동다송』과 『남방록』에 나타난 다도정신 비교연구

이용수 30

영문명
A Study on the Dado's Spirit of 『Dongdasong』 and 『Nambangnok』
발행기관
한국민족사상학회
저자명
김경희(Kim, Kyung Hee)
간행물 정보
『민족사상』제7권 제2호, 39~104쪽, 전체 6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10,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차생활이라 함은 차를 즐겨 마시고 그에 수반한 찻일을 하면서 정신으로의 경지에 끌여 올려 마음을 수양함을 말한다. 옛 현인들은 글을 읽고 책과 시름하면서 늘 차를 가까이 하였다. 불가에서는 수행의 한 방편으로 삼고 있기도 하다. 차는 중국에서 들여와 우리나라와 일본에 전파되어 왔다. 물론 인도에서 왔다는 설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차를 마셨다는 기원은 삼국유사에서 시작된다. 김부식의 삼국사기에도 차에 관한 기록이 있는데 이는 우리민족이 차생활과 더불어 드높은 기질적 성향이 정신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신라시대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차에 관한 고전 중에는 초의선사가 저술한『동다송』을 최고로 꼽고 있다.『동다송』에서 초의선사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차의 우수성을 말하고 있으며, 당시의 차문화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초의선사는 또한 차생활의 잘못된 실상을 지적하고 있다. 초의선사의 다도정신은 그의 자주정신과 불교적인 선사상이 자연합일 정신으로 나타나 있을뿐만아니라 신선 정신, 풍류도의 정신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 특히『동다송』의 핵심 단어인 중정은 초의 만의 독특한 정신이 흐르고 있는 부분이다. 이런 초의의 다도정신과 일본의 다성이라고 일컽는 센리큐의 『남방록』에 나타나 있는 와비정신, 다선일미 정신, 주객일체의 정신인 다도정신을 비교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두 사람의 다도정신은 각각 나름의 차이점이 있으나 그 귀착점은 서로 통하고 있다. 초의선사의『동다송』에서 나타난 다도정신과 센리큐의 『남방록』의 다도정신을 비교하여 보고 각각의 차문화적 특징을 도출하여 지금의 시점에서『동다송』을 재해석하고 사유해본다.

영문 초록

Tea life is enjoying tea, serving some tea works, and pulling up clear spirit to cultivate one's mind. Ancestors always enjoy tea, learning and reading books. Buddhism also adopts tea as a way of ascetic practices. Tea is originated from China to Korea and Japan. It has a theory that is originated from India, as well. Origin of the drinking tea in Korea starts Samgookyusa. In addition, record about tea in Kim Bu Sik's Samgooksagi shows that high mental inclination comes to considerable level with tea life. From Sillra era up to this time, Cho Eui's Dongdasong is best of classical literature as for tea of Korea. Dongdasong describes superiority of tea growed at Korea with tea culture in that times. Also, Dongdasong mentions fault facts of reality culture. In fact, Cho Eui's Dado mind asserted not only nature conception of his own's ieas with Buddhism, but also harmony of Natureism, Jung Do, Taoism, and Pyungryudo. Especially Dongdasong's core word, Jungjeong has intense Cho Eui's unique character. I studi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bout his Dado mind compared with Sen Ri Kyu's Wabi mind of Nambangnok, Dasunillmi and Jugekillchae mind called Japan's best conception about tea culture. Their Dado minds have each of difference, but their conclusions are communicated. I will conduct each of tea culture's feature and reinterpret Dongdasong which is considered more importantly, comparing both Cho Eui's Dongdasong and Sen Ri Kyu's Nambangnok.

목차

Ⅰ. 서론
Ⅱ. 『동다송』의 다도정신에 대한 체계적 분석
Ⅲ. 『남방록』의 다도정신에 대한 체계적 분석
Ⅳ. 『동다송』과 『남방록』의 다도정신 비교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희(Kim, Kyung Hee). (2013).제2장 『동다송』과 『남방록』에 나타난 다도정신 비교연구. 민족사상, 7 (2), 39-104

MLA

김경희(Kim, Kyung Hee). "제2장 『동다송』과 『남방록』에 나타난 다도정신 비교연구." 민족사상, 7.2(2013): 39-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