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청년들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유형화 연구
이용수 257
- 영문명
- A study on the Type of Social Support among young people with COVID-19: Focus on Latent Class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국정관리학회
- 저자명
- 정주호(Juho Jung) 한연수(Yeonsoo Han) 김동욱(Donguk Kim) 조민효(Rosa Minhyo Cho)
- 간행물 정보
- 『현대사회와 행정』第32卷 第4號,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잠재집단분석(LCA)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년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 및 고립에 따른 유형화를 시도하고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 및 사회활동 참여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고립형, 정서지지형, 사회지지형과 코로나19로 친구 및 동료와 사회적 관계가 멀어진 코로나고립형, 코로나취약형까지 총 다섯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후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 및 사회활동 참여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으로 고립된 두 고립형의 노동시장 및 사회활동 참여가 저조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기본정책을 수립하는데 청년의 사회적 지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년들의 사회적지지 및 고립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각 유형별 특성에 맞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민간단체 등을 활용한 지역중심의 자생적 구조를 마련한다면 효율적으로 청년들의 사회적 고립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categorization according to social support of young people using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confirmed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social activities by typ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total of five types were derived: social support type, social isolation type, emotional support type, corona-isolated type and corona-vulnerable typ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labor market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by type, it was found that the socially isolated social isolation type and corona isolation type labor market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was low.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rvey on the social support and isolation of young people and to provide policy suppor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Second, the social isolation of young people can be effectively resolved if a local self-sustaining structure is prepared using local governments and local private organiz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tilization of Public Long-Term Care Services and Burden Alleviation of Servic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Home Care and Institutional Care for Older Adults in South Korea
- 코로나19 청년들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유형화 연구
-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사회성과연계채권(SIB)의 개선방안 고찰
- 관료 기관의 의사결정이 선출직 공무원의 선거 사이클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 지역산업 구조와 지역경제 성장에 관한 연구
- 現代社會와 行政 第32卷 第4號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