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10년대 『매일신보』의 여성 담론과 식민지 여성 만들기

이용수 24

영문명
Discourse on Women in the MAEILSHINBO in the 1910s and the Formulation of Colonial Women
발행기관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저자명
김경남
간행물 정보
『젠더와 사회』젠더와 사회 제33집, 51~7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여성운동과 여성 담론의 변화 양상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위한의도에서, 1910년대 『매일신보』에 소재한 여성 담론 자료를 조사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데목표를 두었다. 이 신문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기관지로 인식될 정도로 식민 정책을 홍보하는 역할을 담당한 신문으로, 여성 담론에서도 식민지적 퇴영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신문의 사설, 논설, 기사, 칼럼을 대상으로 여성 담론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담론의 내용을 분야별로 분류한 뒤, 그에 따른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1910년대 『매일신보』에 등장하는 여성 담론 자료에는 일정한 특징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 이 신문에서도 근대 이후 여성 문제와 관련한 자료가 지속적으로 게재되었다. 그러나 1910년대자료는 대부분 ‘부인(婦人)’ 또는 ‘여자(女子)’라는 용어로 표현되었으며, ‘여성(女性)’이라는 용어는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여성 담론의 내용 또는 분야별 분포에서 가장 빈번히등장하는 것은 ‘여성 노동’, ‘부업’ 등의 담론이다. 특히 ‘일하지 않는 여성’, ‘사치와 허영에빠진 여성’ 등을 경계함으로써 빈곤의 원인이 이들 여성에게 있다는 논리를 전개할 경우가 많은데, 이는 여성을 식민지 동화 대상으로 간주하는 논리이다. 셋째, 여자교육 문제에서도 근대적여성관의 퇴영된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데, 교육의 일차적인 목표는 ‘순량한 국민 양성’에 있었으며, 여성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도 순응적인 여성을 만드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넷째, 이신문의 여성 담론은 전통적 여성관을 기반으로 국가주의를 결합한 식민 여성 만들기를 목표로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효열’을 강조하고, 혁명적 여성 인물조차도 국가를 위해희생함을 부각하고 있다. 이처럼 1910년대 식민 통치 아래 여성 담론의 퇴영된 모습은 1920년대문화운동 이후 조선인의 입장이 반영된 신문 매체에서 큰 변화를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는일제 강점기 여성 담론의 변화 양상을 객관화하는 데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systematize the changes in the women's movement and women's discour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discourse data in the MAEILSHINBO in the 1910s. This newspaper played a role in promoting colonial policies to the extent that it was recognized as the official newspaper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 also shows colonial regression in women's discourse. In this study, data that can confirm women's discourse was investigated for editorials, editorials, articles, and columns of this newspaper, and based on this, the content of the discourse was classified by field, and the content was analyzed accordingly.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ere certain characteristics in the material of discourse on women appearing in the MAEILSHINBO in the 1910s. First, data related to women's issues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in this newspaper since modern times. However, most of the data from the 1910s were expressed in terms of ‘BUIN(wife)’ or ‘YEOJA(woman)’, and the term ‘YEOJA’was used very limitedly. Second, discourses such as ‘women's labor’ and ‘BUEOP(side work)’ appear most frequently in the content or distribution of discourses on women. In particular, by guarding against ‘women who do not work’ and ‘women indulged in luxury and vanity’, the logic that these women are the cause of poverty is often developed, which is a logic that regards women as objects of colonial assimilation. Third, the issue of women's education also reflects the retirement of the modern view of women. The primary goal of education was to ‘cultivate innocent people’, and education for women also aims to make compliant women. Fourt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omen's discourse in this newspaper aimed to formulate colonial women who combined nationalism based on the traditional view of women is emphasizing. As such, the disappearance of women's discourse under the colonial rule in the 1910s shows a major change in the newspaper media reflecting the position of Koreans after the cultural movement in the 1920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ome extent in objectifying the changing aspects of women's discour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1910년대 『매일신보』의 여성 담론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남. (2022).1910년대 『매일신보』의 여성 담론과 식민지 여성 만들기. 젠더와 사회, (), 51-71

MLA

김경남. "1910년대 『매일신보』의 여성 담론과 식민지 여성 만들기." 젠더와 사회, (2022): 5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