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의회복이론의 타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34

영문명
Validating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Testing the Control Effect of the Level of Cognitive Load of Everyday Life and Crowding of a Forest Visited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김선아 김민주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5권 제7호, 59~8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회복환경지각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회복환경지각의 효과에만 관심을 집중해 왔으며,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는 배경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평소 생활의 인지부하 수준과 방문지의 혼잡지각 수준이 회복환경지각과 심리적 효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주의회복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회복환경지각의 항목을 구성하고,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와 본 조사는 장흥군 편백 숲 우드 랜드 관광을 마치고 귀가하는 관광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18년 9월 25일(화)부터 9월 26일(수)까지의 총 2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0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회복환경지각이 단기적 심리 회복의 경우 회복환경지각이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환경지각의 구성요인 중 '휴식과 보편적 매력'이 심리적 회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의회복이론 가설의 타당성은 이 연구에서 검증되지 않았지만, 일상생활의 인지부하가 적정 수준 이하이면 이 가설이 타당할 수 있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자연 환경에서의 혼잡 지각은 회복환경지각과 단기적 심리적 회복 사이의 인과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주의회복이론의 논지가 타당하더라도 관광지의 혼잡도와 방문자의 일상생활에서의 인지부하에 대해서 유의미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recovery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effect.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level of cognitive load in everyday life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congestion at the place of visit act as a moderating variable. Items to measure the variables were organized based on prior researches, and two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ourists returning home after visiting Jangheung-gun Cypress Forest Woodl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5 to September 26, 2018, and a total of 250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erception of the recovery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recovery in the case of short-term psychological recove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est and universal attrac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erception of recovery environment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recovery. Although the validity of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hypothesis was not tested in this study, evidence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ypothesis could be valid if the cognitive load of daily life was below an appropriate level. Also,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ongestion perception in the natura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environment perception and short-term psychological recove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Ⅲ. 변수의 측정 및 예비조사
Ⅳ.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아,김민주. (2021).주의회복이론의 타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학연구, 45 (7), 59-80

MLA

김선아,김민주. "주의회복이론의 타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학연구, 45.7(2021): 59-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