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VID-19 상황에서 여행업 종사자의 고용불안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insecurity of travel industry workers in the COVID-19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이진희 김남조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5권 제3호, 9~3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COVID-19 상황에서 여행업 종사자의 고용불안 경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표본은 COVID-19 발생 이후 고용불안을 경험한 여행업 종사자를 선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고찰한 여행업 구조체계를 고려하여 이론적 표본추출을 하였다. 심층면접을 진행한 결과, 1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과정에서 지속해서 전문가 검토 과정을 거쳤으며, NVivo 12를 이용하여 관리・분석하였다. 개방코딩에서 118개의 개념, 30개의 하위범주와 12개의 상위범주를 발견하였다. 인과적 조건은 ‘COVID-19로 인한 관광위기’로 밝혀졌으며, 맥락적 조건은 ‘외부요인에 취약한 산업구조’, ‘미비한 고용정책’과 ‘관광산업의 디지털화’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여행업 종사자의 고용불안 경험’으로 밝혀졌으며, 중재적 조건은 ‘심리적 변화’, ‘인적자원의 낮은 업무 역량’과 ‘이직 노력과 한계’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고용정책 탐색 및 활용’, ‘K방역과 시스템 기반 인적자원관리’ 그리고 ‘관광 고용안전망 구축’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뉴노멀시대의 관광 고용구조 개선’으로 분석되었다. 선택코딩 단계에서 핵심범주는 ‘관광 고용불안 대처행동에 따른 뉴노멀시대의 관광 고용구조 개선’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여행업 종사자의 고용불안 경험과 인지 및 대처행동에 대한 이론적 초석을 다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여행업 종사자의 실질적인 요구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insecurity of travel industry workers during the COVID-19.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ravel industry workers who experienced employment insecurity after COVID-19. We conducted the theoretical sampling until the data achieved the satuaration. The data were continuously reviewed by experts during the analysis processes and NVivo 12 was used to manage and analyze the data. In the open coding process, we found total of 118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related to employment insecurity of travel industry during the COVID-19. The findings suggest that casual condition was turned out to be ‘tourism crisis caused by COVID-19', contextual conditions were ’industrial structure vulnerable to external factors’, ‘insufficient employment policy’ and ‘digitalization of the tourism industry’ The phenomenon was 'experience of employment insecurity of travel industry workers' and the intervening condition were 'psychological change', 'low work capacity of human resources' and 'limited turnover opportunities'. The action and interaction were 'search and utilize of employment policy', 'k-quarantine and a system-based HRM' and 'establishment of tourism employment safety net'. The consequence was 'improvement of the tourism employment structure in the New Normal Era'. In the selective coding stage, the core category was found to be 'improvement of the tourism employment structure in the New Normal Era according to tourism employment insecur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희,김남조. (2021).COVID-19 상황에서 여행업 종사자의 고용불안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관광학연구, 45 (3), 9-32

MLA

이진희,김남조. "COVID-19 상황에서 여행업 종사자의 고용불안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관광학연구, 45.3(2021): 9-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