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가구주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97

영문명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Move-in of Youth Householders into Public Rental Housing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이정혜 곽희종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第30卷 第4號, 31~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 가구가 낮은 주거 안정성을 보임에도 정부에서 공급 중인 청년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의 입주율 미달이 발생하는 원인을 청년 가구의 수요와 정부의 공급정책 간의 불균형으로 보고, 전국 1,000명의 청년 가구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공공임대주택의 입주의향에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설문결과의 로지스틱 회귀모형 분석결과, 청년 가구주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과 가구 및 주거특성, 지역별 주택특성, 공공임대주택 특성은 유의하였다. 요인별로 가구 및 주거 특성은 주택면적ㆍ가구주 소득ㆍ월 주거비가 유의하였고, 지역별 주택특성은 40㎡ 이하의 주택비율, 종합전세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임대주택 특성은 주택규모, 임대료, 거주기간이 유의하였다. 특히, 선행연구들에서 연구가 미미했던 공공임대주택 특성과 입주의향 간의 유의성이 높게 나타나 주택규모, 임대료, 거주기간 등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중요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정부가 추진 중인 청년 가구의 소득기준 확대정책의 실효성을 위해서는 주택면적, 내부시설 등 주택의 질적측면의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청년 공공임대주택의 지역별 공급물량에 대한 정책 수립 시, 민간임대주택 시장의 소형 주택물량과 전세 값 상승 폭에 대한 사전 조사 후 공급 시기와 물량을 차등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청년 가구의 삶의 질 향상 및 주거 불안 완화를 위해 주택면적, 분양전환 기준 등 공공임대주택 특성에 대한 적극적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회가 주거기준을 개선하되 공용공간의 효율적 공급으로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는 정책 방향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출ㆍ퇴근이 양호하며 대중교통이 편리한 도심권을 선호하는 청년계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를 통한 청년주택의 공급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youth householders’ move-in into public rental housing assuming its cause of low occupancy as an imbalance between the demand and the government’s supply policies. The result shows the move-in intention into public rental housing by youth householders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housing by region, and public rental housing were significant. For the housing, the house size, household income, and housing expenses were significant. For the housing by region, the housing rate of houses less than 40㎡ and the comprehensive Jeonse price index were significant. The public rental houses, the size of houses, rental fees, and residence period were also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rental houses were highly significant, which were not fully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study's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olicy to effectively expand income standards for young households, the quality of housing must be improved as well. Second, a preliminary inspection of the number of small private houses and the increase in Jeonse prices are needed when supplying public rental housing to each region. Third, there should be affirmative actions to improve housing policies related to housing space, residence period, and standards for conversion into rental housing. In particular, minimum housing standards should be improved, but the burden of housing fees should be alleviated. Lastly, the supply of urban houses needs to be revitaliz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검토
Ⅲ. 이론적 고찰
Ⅳ. 연구방법
Ⅴ.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실증분석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혜,곽희종. (2022).청년 가구주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30 (4), 31-55

MLA

이정혜,곽희종. "청년 가구주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30.4(2022): 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