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WOT 분석을 통한 환경보건 연구의 동향과 전망 고찰
이용수 93
- 영문명
- Trends and Prospective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through SWO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신지훈 나진성 김기태 이종대 양원호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8권 제5호, 255~26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Research in environmental health (EH) is of crucial strategic importance for contemporary society. It is becoming even more critical in light of the increasingly rapid pace of environmental changes, opportunities, and threat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rends and the prospective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using SWOT analysis.
Methods: The trends in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were reviewed in previous studies and reports. Reviewed manuscripts were searched for using the keywords of ‘environmental health’ and ‘environmental hygiene’ in the KCI (Korean Journal of Citation Index), KISS (Korean Academic Information), PubMed, and Google Scholar.
Results: It is essential to center the EH research agenda around key priorities focusing on technological innovation, job creation, and the increasingly prominent role of the private sector. Given the rapidly evolving global sustainability agenda, greater clarity on the ever-increasing sources of complexity and growing expectations of the public might be needed. This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criteria to identify EH research priorities with the ultimate goal of maximizing societal benefit. Public health relevance, such as extent and severity of health impact, level of exposure, and inequalities of effects, could be included.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cent interest in and importance of environmental health, a comprehensive approach to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should be requir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citizen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health surveillance system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화력발전소 주변지역에서 저주파소음의 공간분포 특성
-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라돈 차단벽지의 효율성 평가
- 코로나-19 발생 전후 대기오염물질 농도 및 대한민국 성인들의 소변 시료 중 환경유해인자 농도의 변화: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18~2020)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