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 오류사고 민사책임에 대한입법론적 검토

이용수 198

영문명
Legislative Review of Civil Liabilityfor Accidents Involving Errors in Artificial Intelligence
발행기관
한국재산법학회
저자명
김진아(Kim, Jin-Ah)
간행물 정보
『재산법연구』第39卷 第2號, 273~30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인공지능의 책임법적 논의에서 주요하게 등장하고 있는 입법쟁점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민법 개정과 관련하여 인공지능에 법인격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지, 인공지능 관련 특별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는지, 제조물 책임법 개정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등 소프트웨어를 제조물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논의 결과를 각 쟁점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법 개정과 관련하여 인공지능에 법인격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 법인격 부여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인공지능 오류사고를 개발자, 이용자 등의 과실책임으로 규율할 수 있어, 인공지능에 별도로 법인격을 부여하여 그 자체에 책임을 귀속시킬 필요성이 낮기 때문이다. 설령 그 필요성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인공지능에 책임재산을 귀속시키는 문제, 책임재산의 상한이 설정되는 문제, 그 법인격을 형해화시키는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공지능에 법인격을 부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둘째, 특별법 제정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오류사고를 둘러싼 법적 불확실성을 완화하기 위해서 특별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인공지능 오류사고를 어떠한 귀책근거로 규율해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과실책임을 그 귀책근거로 명시하고, 인공지능 오류사고에 대한 재판례가 부족하여 개발자나 이용자 등에게 인정될 주의의무가 무엇인지 짐작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특별법에 근거한 대통령령에서 주의의무로 인정될 개연성이 높은 위험방지조치를 언급하며, 인공지능 오류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 과실 또는 인과관계 등에 대한 증명책임 완화 법리가 제시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특별법에 증명책임 완화를 명시함으로써, 인공지능 오류사고를 둘러싼 법적 불확실성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제조물 책임법 개정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등 소프트웨어를 제조물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 이러한 개정이 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일 수 있지만 그 영향은 제한적인 반면, 회복, 예방, 형평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이라는 이유로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소프트웨어를 제조물에 포함하면, 피해자의 손해 회복 개연성이 높아지고,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하여금 더욱 주의를 기울이도록 함으로써 사고 예방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되는 소프트웨어와 정보저장매체에 담긴 소프트웨어 간의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다. 반면 장래의 제조물책임비용의 증가로 인공지능 기술 등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을 저해할 수 있으나, 산업 발전을 상당히 지체시킬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소프트웨어를 제조물에 포함시키는 개정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이 논문은 인공지능에 법인격을 부여하는 민법 개정은 필요하지 않으나, 인공지능 관련 특별법 제정을 통하여 인공지능 오류사고를 둘러싼 법적 불확실성을 완화할 필요가 있으며, 소프트웨어를 제조물에 포함하는 제조물 책임법 개정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viewed the issues that appear mainly in the discussion of the responsibility law of artificial intelligence. Specifically, it was reviewed whether it was necessary to grant a legal personality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lation to the revision of the Civil Act, whether it was necessary to enact a special law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hether it was necessary to include software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roduct in relation to the revision of the Product Liability Act.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summarized by each issue as follows. Firt, it was judged that it was not necessary to grant a legal personality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lation to the revision of the Civil Act. This is because artificial intelligence error accidents can be regulated as negligence responsibilities of developers and users, so there is a low need to attribute responsibility to artificial intelligence by giving it a separate legal personality. Even if the necessity is recognized, it is not reasonable to give artificial intelligence a legal personality be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attributing responsible property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etting an upper limit on responsible property may occur in a series. Second, in relation to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enact a special law to alleviate legal uncertainty surrou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error accidents. Various opinions are being raised on what basis attributable to artificial intelligence error accidents should be regulated.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liability for negligence as the basis for attribution in the special law.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precedent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rror accidents, it is difficult to guess what the duty of care to be recognized by developers and users 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ntion risk prevention measures that are highly likely to be recognized as a duty of care in presidential decrees based on special laws. In addition, in a lawsuit for compensation for damages caus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error accident, the victim may be excessively burdened with proving negligence or causal relationship, so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law to ease the burden of proof.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legal uncertainty surrou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error accidents by specifying the basis for attribution in the special law. Third, regarding the revision of the Product Liability Act, whether it is necessary to include software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roduct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innovation, but the impact on recovery, prevention, and equity is positive. The inclusion of software in the product increases the victim's risk of damage recovery, increases the risk of accident prevention by requiring more attention to software developers, and improves equity between software distributed over the network and software contained in the storage medium. On the other hand, it was judged that the increase in product responsibility costs in the future could hinder innovation in the software industr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ut it was not enough to significantly delay industrial development.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inclusion of software in the manufacture. As described above, this paper judged that al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revise the Civil Act that grants legal personality to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legal uncertainty surrou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error accidents through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revise the Product Liability Act, which includes software in the product.

목차

Ⅰ. 서론
Ⅱ. 민법 : 법인격 부여?
Ⅲ. 특별법 : 귀책근거 명시 등
Ⅳ. 제조물 책임법 : 소프트웨어의 제조물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아(Kim, Jin-Ah). (2022).인공지능 오류사고 민사책임에 대한입법론적 검토. 재산법연구, 39 (2), 273-308

MLA

김진아(Kim, Jin-Ah). "인공지능 오류사고 민사책임에 대한입법론적 검토." 재산법연구, 39.2(2022): 273-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