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구비설화 전승집단의 이야기적 관심사와 그 의미

이용수 45

영문명
Narrative interest and meaning of oral folktales transmission group using text mining technique: For the digital archive of 〈Korea Oral Literature Daegye〉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한유진(Han, Yu-ji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58권, 95~12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구비문학대계〉 디지털 아카이브에 DB화된 구비설화 각편 26,542편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전체 전승집단과 젠더에 따른 전승집단의 이야기적 관심사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KoNLPy 패키지의 Mecab 클래스를 활용하여 구비설화 26,542편의 제목에서 형태소를 분석하여 명사를 추출한 후 collection 패키지의 Counter 클래스를 사용하여 상위 빈도수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상위 빈도수를 차지하는 30개의 명사를 통해 살펴보면 구비설화 전승집단은 ‘지명유래담’, ‘호랑이’ 설화, ‘도깨비’ 이야기, ‘가족관계의 관계성’을 보여주는 서사, ‘부·효·복·명당 등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이야기들을 주로 구연한 것으로 확인된다. ‘지명유래담’이 가장 많이 구연된 결과는 화자들이 ‘조사할 가치가 충분한 이야기’를 지명유래담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호랑이’ 이야기는 향유층에게 웃음을 주고 ‘효’를 중시하는 가치를 드러냈다. ‘도깨비’ 이야기는 이야기 속 허구적 상황을 실제 사건인 것처럼 전달하여 향유층에게 ‘오싹함’을 느끼게 하는 흥미를 유발함으로써의 ‘이야기적 쾌락’을 만족시키거나 현실에서 설명되기 어려운 문제들을 해명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다. ‘가족관계’를 보여주는 이야기 중에서는 특히 ‘며느리’ 소재 설화가 압도적으로 많이 구연되었는데 이는 현실에서 가장 갈등을 발생시키는 가족관계가 며느리를 둘러싼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들’, ‘명당’, ‘효자’, ‘부자’, ‘묘’, ‘복’, ‘효부’ 등의 명사는 전승집단이 대를 이을 ‘아들을 출산’하고 ‘부자’가 되는 것에 가장 관심을 두고 있으며 다른 여러 이념보다도 특히 ‘효’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인물의 간절한 염원은 ‘명당’을 통해 실현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명당’과 ‘묘’ 소재 설화가 많이 전승되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젠더에 따른 이야기적 관심사는 2,916명의 남성화자들이 구연한 15,088편, 2,004명의 여성화자들이 구연한 7,467편의 각편을 통해 살펴보았다. 남성화자들은 지명유래담을 많이 구연하였고 여성화자들은 가족 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보여주는 이야기들을 즐겨 구연하였다. 이는 여성화자들의 삶이 ‘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가정 안’에 집중된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박문수’, ‘중’, ‘정승’ 소재 이야기를 즐겨 구연하며 관심의 영역을 집밖으로 확대하는 남성화자들과는 다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and meaning of narrative interests of the whole tradition group and the tradition group according to gender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 targeting each 26,542 oral narratives in the digital archive of 〈Korea Oral Literature Daegye〉. For this purpose, the noun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the morphemes from the titles of 26,542 oral narratives using the Mecab class of the KoNLPy package, and then the high frequencies were extracted using the Counter class of the collection package. As a result, looking at the 30 nouns occupying the highest frequency, the oral folktale tradition group consists of ‘the story of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the tale of the ‘tiger’, the story of the ‘goblin’, the narrative showing the ‘relationship of family relationships’, ‘wealth, filial piety, fortune, it is confirmed that he mainly told stories about the values pursued by humans’, such as famous places. The result of the most oral tales of ‘place name origin’ shows that the narrators perceive ‘story that is worth investigating’ as a place name origin story. The story of ‘Tiger’ brought laughter to the enjoyment class and revealed the value of ‘filial piety’. The story of ‘Goblin’ is a means to satisfy ‘story pleasure’ by conveying the fictional situation in the story as if it were a real event and arousing interest to the enjoyment class to feel ‘creep’ or to solv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explain in reality. it became. Among the stories that show ‘family relations’, in particular, the story about ‘daughter-in-law’ was overwhelmingly told, which shows that the family relationship that causes the most conflict in reality is that surrounding the daughter-in-law. Nouns such as ‘son’, ‘myeong-dang’, ‘filial piety’, ‘rich man’, ‘grave’, ‘blessed’, ‘filial piety’, etc. It shows that he cares about ‘filial piety’ above all other ideologies. The character’s earnest wish for this is shown to be realized through ‘Myeongdang’, and it can be interpreted in this context that many stories about ‘myongdang’ and ‘grave’ are handed down. Meanwhile, narrative interest according to gender was examined through 15,088 stories told by 2,916 male narrators and 7,467 stories narrated by 2,004 female narrators. Male narrators recounted many stories about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and female narrators enjoyed telling stories that showed problems between families. This shows that the lives of female speakers are focused on ‘in the home’ with a ‘family’, which is different from male speakers who enjoy telling stories about ‘Park Moon-soo’, ‘Middle’, and ‘Jeong-seung’ and expand their area of interest outside the house. will be.

목차

1. 서론
2. 텍스트 데이터 분석 과정
3. 구비설화 향유층의 이야기적 관심사의 양상
4. 젠더에 따른 전승집단의 이야기적 관심사의 차이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유진(Han, Yu-jin). (2022).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구비설화 전승집단의 이야기적 관심사와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95-120

MLA

한유진(Han, Yu-jin).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구비설화 전승집단의 이야기적 관심사와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22): 95-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