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게일의 미출판 영역 시조의 계보학적 위상 고찰

이용수 47

영문명
Historical Significance of Gale’s Unpublished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Sijo(時調)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강혜정(Kang, Hye-j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58권, 35~6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 奇一:1863-1937)의 미출판 영역 시조의 특성을 살피고 이를 게일의 영역 시조사 속에 자리매김하여 미출판 영역 시조의 계보학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토마스 피셔 희귀본 장서실’에는 출판되지 않은 한국 고전에 대한 게일의 번역물이 존재하는데, 『조선필경(Pen-Pictures of Old Korea)』이라는 미간행 서적과 『일지(The Diary)』라는 필사본 속에 영역 시조가 수록되어 있다. 게일은 40년간 한국에 머물며 30년에 걸쳐 영역 시조를 발표하였는데, 출판된 시기에 따라 번역의 양상이나 목적이 달랐다. 즉, 1895년부터 1898년 사이에 발표된 1차 번역(The Korean Repository, The Korean Sketches)에서는 수용문학 중심적 태도를 보이다가, 1922년에 발표된 2차 번역(The Korea Bookman)에서는 원천문학 중심적 태도로 바뀌었고, 1924년부터 1927년 사이에 발표된 3차 번역(The Korea Mission Field)에서는 중간 혼합적 태도를 보였다. 1912년에 작성되었으나 출판되지 못한 『조선필경』은 번역의 양상이나 시조에 대한 인식 태도로 볼 때 1차 번역의 특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따라서 『조선필경』은 게일의 1차 번역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조선필경』까지 포함한 1차 번역에는 영문 잡지, 출판된 단행본, 미출판 단행본 등 영역 시조를 수록한 매체의 성격이 다양하고 번역이 이루어진 시기도 상당히 길지만, 원천문학인 시조로서의 특성보다는 영시로서의 운율을 강조하는 특성을 보이기에 이를 하나의 범주로 묶는 것이 타당하다. 특히, 『조선필경』의 발견으로 1895년부터 시작된 게일의 한국 시가 번역이 1910년대 초반에 이르도록 서구 문학 중심적 태도로 일관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일지』의 경우 선행 연구는 2차 번역 즉, The Korea Bookman과 중첩되는 것으로 보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두 번역은 원천문학 중심적 태도를 보인다는 점에서 같은 범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세부적으로 볼 때 두 번역 사이에는 변별되는 지점도 있었다. 이 변별되는 것들을 통해, 본고에서는 The Korea Bookman이 『일지』보다 먼저 작성되었으며, 『일지』는 The Korea Bookman의 실험적 번역을 토대로 이를 보완하고, 그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 보았다. 『일지』의 발견으로 게일이 The Korea Bookman에서 강조했던 바, 시조로 대표된 조선의 전통문화를 존중하고, 이를 서구 사회에 알리기 위한 노력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 확대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work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ames Scarth Gale(1863-1937)’s unpublished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Sijo(時調). In the Thomas Fisher Rare Book Library belonging to the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lies unpublished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s; part of this collection is a typed unpublished book called Pen-Pictures of Old Korea(『朝鮮筆景』) and a manuscript called The Diary(『日誌』) which contains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Sijo. During Gale’s 40 year stay in Korea, he devoted 30 of those years to translating Sijo. Previous research shows Gale’s translations differ in demeanor and purpose by publication period. Specifically, the first series of translations, those published in The Korean Repository between 1895 to 1898, was translated with the English audience in min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eries of translations, those published in The Korea Bookman in 1922, strives to highlight the literary qualities of the source. The last series of translations, published between 1924 and 1927 in The Korean Mission Field, amalgamate qualities of the previous two in attempt to please a broader audience. The Pen-Pictures of Old Korea, which was set to be published in 1912 but remains unpublished, shows similar qualities to that of Gale’s first series of translations. Although the first series of translations encompasses a large and diverse array of media, judging by time and its attributes, The Pen-Pictures of Old Korea can effectively be categorized into his first series of translations. Assuming such, we arrive at the notion that Gale translated as a service to Western literature until the early 1910s. Regarding The Diary(『日誌』), previous research has unveiled its publication period as similar to that of The Korea Bookman, the second series of translations. The two works are similar in its originalist motivations, but there also exist points of distinctions. Considering these qualities, we can assume that The Korea Bookman was written prior to The Diary, and The Diary was written to supplement and expand the subject The Korea Bookman was based off of.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Diary, as Gale emphasized in The Korea Bookman, we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Gale paid respects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ontinuously attempted to publicize such to the Western society.

목차

1. 서론
2. 출판된 게일 영역 시조의 특성
3. 미출판 『朝鮮筆景(Pen-Pictures of Old Korea)』 소재 영역 시조의 계보학적 위상
4. 미출판 『日誌(The Diary)』 소재 영역 시조의 계보학적 위상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혜정(Kang, Hye-jung). (2022).게일의 미출판 영역 시조의 계보학적 위상 고찰.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35-62

MLA

강혜정(Kang, Hye-jung). "게일의 미출판 영역 시조의 계보학적 위상 고찰."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22): 3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