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업부진 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이용수 140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gram for underachieved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승재(Lee Seung Jae)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제27권 제1호, 53~6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 목적은 학업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적향상 프로그램의 참여 전·후 학업성취도에 대한 양적분석과 함께 참여 수기에 대한 질적분석을 통해 성적향상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W대학교 교수학습센터에서 운영하는 성적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W대학교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습전략검사와 재학생 실태조사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성적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중에서 성적향상 프로그램은 직전학기 70점 미만 학생과 교수가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부진에서 탈출하는 프로그램이다. 교수-학생 간 학습공동체는 일대일 또는 일대다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심리·정서 및 행동적 지원을 통해 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 시키고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성적향상 프로그램은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 대부분 학업성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적향상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다음으로 성적향상 프로그램 이수 후 제출한 참여 수기를 분석한 결과 학업부진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은 학업동기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학업성취도의 상승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동기를 향상시키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로는 두 학기 동안 학업부진 학생이 1,000여명 정도 되는 상황에서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만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를 검증한 한계점이 있었다. 향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나누어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더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n academic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as well as qualitative analysis on the participation notes for underachieved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data were analyzed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operated by the W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W University's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operates a variety of grade improvement programs based on prior research on learning strategy tests and current student surveys. Among them,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is a program in which students and professors with less than 70 points in the previous semester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rough interactions, escape from poor academic performance. The learning community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can be composed of one-to-one or one-to-many, and aims to improve stud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ontinuou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behavioral suppor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was helpful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derachiever students, and in particular, most of the students who completed the program showed an increas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his proves that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tion notes submitted after completing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underachiever students increased. Improving academic self-efficacy means that academic motivation has increased,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academic achievement.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with the professor could be seen as playing a key role in improving the academic motivation of underachiever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재(Lee Seung Jae). (2021).학업부진 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교육문제연구, 27 (1), 53-66

MLA

이승재(Lee Seung Jae). "학업부진 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교육문제연구, 27.1(2021): 5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