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29

영문명
The Effects of Age-friendly Environmen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Communit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장은하(Eunha Jang) 백옥미(Okmi Baik) 홍석호(Seokho Hong)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42권 4호, 805~8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Lawton & Nahemow의 개인-환경 적합성 이론과 Antonovsky의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수준, 일반적 저항자원인 사회적지지, 통합균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고령친화적 환경수준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통합균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사업 확장형 리빙랩을 통한 노인맞춤형 주거복지 통합서비스 개발의 일환으로 진행된 실태조사를 일부 활용하였다. 실태조사의 조사대상자 중 독거노인을 추출하였고, 결측치 및 정규성 검증을 통해 477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들 간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살핀 결과,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이 사회적지지,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적지지는 통합균형감과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균형감은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별 매개효과 및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이 사회적지지를 거쳐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의 개별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은 사회적지지와 통합균형감을 매개하여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도모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Lawton & Nahemow's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and Antonovsky’s Salutogenesis theory, we examined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social support and a sense of coherence for their impa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ested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a sense of coher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For this purpose, we referenced to a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s part of the project ‘Developing Living and Welfare Integrated Service Tailored to Elderly People through Expanded Living Lab.’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we identified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used data of 477 people for the final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missing value and test of normality. The following describes the analysis results. First, an examination of direct influence among the main variables showed that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directly affected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directly affected a sense of coherenc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lso, a sense of coherence directly affected health promotion behaviors. Second, we tested both individual and dual mediating effects, and observed a meaningful individual mediating effect for the path from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via social support. Also,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showed dual mediating effec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via social support and a sense of cohere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은하(Eunha Jang),백옥미(Okmi Baik),홍석호(Seokho Hong) . (2022).지역사회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2 (4), 805-831

MLA

장은하(Eunha Jang),백옥미(Okmi Baik),홍석호(Seokho Hong) .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2.4(2022): 805-8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