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면센서 바이오피드백의 임상적 적용

이용수 166

영문명
Clinical Applications of Facial Sensor Biofeedback: Implications for Voice Therapy or Vocal Training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7. no.2, 420~431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바이오피드백 치료법은 목소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훈련 중 하나이다. 공명 발성치료나 튜브 발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얼굴 구조의 특정 부위에서 진동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된 안면진동측정시스템을 사용하여 음성훈련이나 음성치료시 안면진동 감각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음성장애가 없는총 38명의 정상 청년층이 참여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안면진동센서시스템을 이용하여 세 가지 신체 부위(뺨, 코, 목)에 진동센서를 장착한 후 편안한 상태에서 /ㅏ/발성, 카주 발성, 입술트릴, 허밍, 튜브발성, 물저항 발성 동안 진동부위와 크기를 측정하였다. 결과: 공명 발성이나 튜브 발성 유형에 따라 신체 부위(볼, 코, 목)별 진동 크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허밍에서는 코에서 가장 큰 반면, 물저항 발성, 입술트릴, 카주, 빨대 발성에서는 뺨에서 가장 진동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음성치료나 발성훈련법 (/ㅏ/발성, 카주, 입술트릴, 콧노래, 빨대 발성, 물저항 발성) 간 진동 크기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중 진동원인 입술트릴과 물저항 발성이 다른 단일 진동원 발성에 비해 진폭이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안면진동센서는 반폐쇄성도운동 훈련이나 치료를 하는 동안 안면진동 감각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동 감각에 대한 생체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명 음성 또는 튜브 발성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Biofeedback therapy is a training technique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voice. In order to conduct resonant voice therapy or tube phonation more effectively, it is important for the patient to feel the vibration sensation in a specific part of the facial structur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linical basis for facial vibration was presented by quantifying the vibration site and magnitude using vibration sensors during various semi-occluded vocal tract phonations. Methods: A total of 38 normal young adults without dysphon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cording was performed a total of 6 times for each type of phonation, in the order of /a/ phonation, Kazoo, lip trill, humming, straw phonation, and tube phonation in water at the comfortable level using newly developed facial vibration sensor.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vibration according to body parts (cheek, nose, neck) during resonant voice or tube phonation; the largest amplitude presented in the nose during humming whereas lip trill, straw, kazoo, and tube phonation in water presented in the cheek.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vibration among the voice therapy exercises or vocal training techniques (/a/ phonation, Kazoo, lip trill, humming, straw phonation, and tube phonation in water; with greater amplitude in dual sources such as lip trill and water resistance phonation than in single source phonations. Conclusion: The facial vibration sensor could provide clinical evidence for facial vibration sensation during semi-occluded vocal tract phonation. It can also provide biofeedback and monitor whether patients can perform semi-occluded vocal tract phonation properly.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안면센서 바이오피드백의 임상적 적용.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 (2), 420-431

MLA

. "안면센서 바이오피드백의 임상적 적용."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2(2022): 420-4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