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후변화에 따른 맥종별 재배실태와 보급종 보급지역에 의한 재배한계지 평가

이용수 48

영문명
Evaluation of Cultivation Limit Area for Different Types of Barley owing to Climate Change based on Cultivation Status and Area of Certified Seed Request
발행기관
한국작물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한국작물학회지』제67권 제2호, 95~11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전국 맥종별(겉보리, 쌀보리등) 생육 및 수확량, 보급종자 지역 등을 2019년과 2020년에 조사하여 재배한계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2019년과 2020년에 쌀보리 및 겉보리 보급 종자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보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맥류 재배시 품종과 보급종자 사용율은 맥종 및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2020년과 2021년에 지역별로 겉보리 보급종자는 0∼100% 사용되었다. 2019년과 2020년 전국 쌀보리 평균 파종일은10월 17일∼11월 9일이었고, 겉보리 경우 10월 26일∼11 월 13일이었고, 맥주보리 10월 19일∼11월 5일이었고, 쌀귀리는 10월 3일∼11월 1일이었다. 즉 맥류 파종일은 연도및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즉 쌀보리의 경우 전남에서는 12 월 12일까지도 파종한 농가가 있었다. 전국 맥종별 재배지역의 10a당 수량은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차이를 보였다. 일부 재배한계지인 강원도 재배지역에서는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해 1월 최저온도에 의해 -10°C 이하로 겉보리, -8°C 이하로 쌀보리, -4°C이하로맥주귀리와 쌀귀리 맥류 안전지대로 본 경우 한국의 최근20년(2002-2021) 1월 최저평균 온도에 의하면 이들 온도지역에서 맥류가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 맥류 보급 종자로 볼 때 우리나라 전역에 맥류 재배가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실제로 맥류 생육과 수확량에 관한실태 조사의 경우에서 일부 강원 지역 등에서는 작황불량으로 수확이 불가능한 지역도 있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맥종별 재배한계지 설정은 재배지의 생육 및 수량 등의영향평가 등에 의해 재추정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climate change is expanding areas in which barley can be successfully cultivated. In 2019 and 2020, we collected data on areas that had requested certified seeds from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to determine potential cultivation areas. In addition, we surveyed the growth and yield of different types of barley in fields. Certified seeds of hulled and dehulled barley were requested by farmers across Korea from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in both years. Areas that were provided with certified seeds were considered potential barley cultivation areas. The varieties and use rates of certified seeds varied based on the barley type and region. For example, certified seeds of dehulled barley in 2019 and 2020 were not used in some areas, whereas in others, these seeds constituted 100% of the seeds sown for barley crops. In 2019 and 2020, the average sowing days in Korea were from October 17 to November 9 for dehulled barley, October 26 to November 13 for hulled barley, October 19 to November 5 for malting barley, and October 3 to November 1 for naked oats. Thus, the sowing days of the barley types varied depending on the area and year they were u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hulled barley in Jeonnam, some farmers sowed until December 12. The yield per 10 a of barley cultivation was typically higher in the main production areas than in the cultivation limit areas. In extreme cases, harvest was impossible in some cultivation limited areas, such as Gangwon-do. Based on the current 20-year January minimum average temperature (JMAT) in Korea (2002-2021), climate change scenarios suggest that barley cultivation is feasible, provided that the minimum temperature in January is no lower than -10°C, -8°C, and -4°C for hulled barley, dehulled barley, and for malting barley and naked oats, respectively. Additionally, cultivation of barley across South Korea seems feasible based on data on certified barley seeds by area. Although both JMAT and certified seed data suggest that barley cultivation across Korea is feasible, our survey results of barley growth and yield showed that harvest was impossible in certain cultivation areas, such as Gangwon-do. Therefore, climate change scenarios related to the cultivation limits of different barley types need to be re-estimated by factoring in survey data on the growth and yield of crops within those cultivation areas.

목차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기후변화에 따른 맥종별 재배실태와 보급종 보급지역에 의한 재배한계지 평가. 한국작물학회지, 67 (2), 95-110

MLA

. "기후변화에 따른 맥종별 재배실태와 보급종 보급지역에 의한 재배한계지 평가." 한국작물학회지, 67.2(2022): 95-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