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년기 생애과정의 사회경제적 격차와 건강궤적

이용수 133

영문명
Health Trajectories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from Life Course Approach on Korean Senior Citizens: Group Based Multi-trajectory Model
발행기관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43호, 95~12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과정 관점에서 한국 노인의 건강궤적을 도출하고 해당 집단에서 사회경제적 격차가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자료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2차부터 7차까지 추출된 2,112명의 노인이며, 분석 방법은 집단중심다중궤적(Group Based Multi-trajectory)과 다항로지스틱모형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노인의 건강궤적집단은 일반노화군(41.6%), 건강노화군(18.2%), 우울·인지감퇴군(18.5%), 돌발감퇴군(15.6%), 심각손상군(6.1%)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 자산, 젠더는 노년기 건강궤적에 유의미한 미쳤으나 교육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노년기에 낮은 사회경제적 위치에 속하는 경우, 신체, 인지, 정신(우울), 만성질환 전 영역의 동반 감퇴나 더 빠른 악화를 특징으로 하는 심각손상군 및 돌발감퇴군으로 발현되는 반면, 높은 소득인 경우와 남성 노인인 경우, 건강노화군과 관련되었다. 셋째, 건강궤적 집단 가운데 우울·인지감퇴군은 사회경제적 격차는 관련성이 없었고 젠더 격차(여성 노인에게서)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생애과정관점에서 설명하는 사회경제적 차이가 노년기 건강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실증적으로 확인됨에 따라 낮은 사회경제적 집단(소득, 자산, 여성)에 대한 노년기 건강 및 돌봄 정책의 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 multidimensional health trajectory of Korean senior citizens from life course approach and to analyze whether socioeconomic disparities appear in each group. Data were taken from the 2nd to 7th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Panel Survey (KLoSA). The study used methodology including group-based multi-trajectory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 the study revealed five groups with different health trajectories: general aging group (41.6%), healthy aging group (18.2%), depression/cognitive disability group (18.5%), sudden decline in health group (15.6%) and severe health impairment group (6.1%). The gender, income, and assets influenced each group differently whereas education showed no meaningful significance. Specifically, low income and asse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udden decline group and severe health impairment group, whereas income and gender (male)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status of the healthy aging group (G2). In contrast, the depression/cognitive disability group demonstrated gender (female) wa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but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nd assets were not related. The study suggests future intervention in health and care policies for each group of different health trajectories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노년기 생애과정의 사회경제적 격차와 건강궤적.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 95-121

MLA

. "노년기 생애과정의 사회경제적 격차와 건강궤적."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2022): 95-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