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을 위한 수업 및 평가방법 탐색

이용수 375

영문명
Exploring the instructions and evaluation methods for improving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22권 제2호, 21~4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유형을 확인하고, 각 역량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및 평가방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발산적 사고력, 독창적 유연성, 호기심 및 모험심, 탐구심을 지표변인으로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업방법으로 개별화, 상호작용, 학생 참여형 수업 정도, 평가방법인 과정중심평가, 평가 피드백이 역량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사고 역량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구분되었다. 둘째, 개별화 정도는 ‘상위 역량’ 집단을 구분하는 영향변인이었다. 셋째, 상호작용은 창의적 사고 역량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학생 참여형 수업은 모든 잠재집단 구분에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영향변인이었다. 다섯째, 과정중심평가는 ‘일반 역량’과 ‘상위 역량’ 집단을 구분하였다. 여섯째, 평가 피드백은 모든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쳤다. 창의적사고 역량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적극성과 주도적 태도를 발현할 수 있는 참여 중심의 수업활동 구성,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을 면밀히 살필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이를 지원하기 위한 평가 피드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profile and the instructions and evaluation methods that affect the profile. LPA was performed using divergent thinking, creative flexibility, curiosity and adventure, and inquiry as index variables, and the degree of individualization, interaction, and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was used as the instruction method, and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and evaluation feedback were used as evaluation methods. For the analysis, the 6th year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Second, individualization was an influential variable that differentiated the ‘higher competency’ profile. Third, interaction did not affect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profile differentiation. Fourth,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differentiation of all profiles. Fifth,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differentiated the ‘general competency’ and ‘higher competency’ profiles. Sixth, evaluation feedback affected the differentiation of all profiles.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foster learners' activeness and initiative attitude for student engagement classes. In addition, it should support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and evaluation feedback that can check the process as well as the result of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을 위한 수업 및 평가방법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22 (2), 21-40

MLA

. "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을 위한 수업 및 평가방법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22.2(2022): 2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