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중의 트로트 장르와 트로트 경연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연구

이용수 387

영문명
A study on the public's perception of the trot genre and the trot audition program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박관익(Park, Kwan Ik) 양원모(Yang, Won Mo) 이준영(Lee, Jun Young)
간행물 정보
『대중음악』통권 29호, 79~121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트로트 장르에 대한 인식과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미디어 제작의 편중성으로 인한 문제점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먼저 대중들의 트로트 장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한 결과로 청취자들은 트로트라는 음악 자체 보다는 트로트를 매개로한 엔터테인먼트를 소비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트로트 열풍의 시작이 오디션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한 스타탄생이라는 결과로부터 탄생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일련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현재 트로트가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는 현상을 반영하는 증거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트로트 관련 미디어 태도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전 세대를 아우르는 트로트 프로그램이 많아져 여러 세대가 같이 시청할 수 있다는 트로트의 인기현상을 반영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 반면, 트로트에 대한 거부감이나 과잉편성에 대한 미디어 태도에 부정적인 결과 값도 보였는데, 이는 트로트 유행에 따른 과잉수요에 의한 방송국의 과잉편성 문제에 따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트로트 가수가 등장하는 예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러한 미디어의 관행들 때문에 나타난 필연적 결과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방송사가 맘에 들지 않아 시청하지 않는다.’ 라는 문항의 결과가 평균을 웃도는 결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트로트 관련 미디어가 종편 위주로 시작되고 또한 트로트 관련미디어가 종편에 집중적으로 편성되었기에 나타날 수 있는 결과라고 예측해 볼 수 있다. 종편 프로그램은 공중파 방송과는 다르게 방송국마다 고유한 특성이 존재하고, 그러한 특성들 때문에 개개인의 방송에 대한 선호가 달라질 수 있다. 오디션 프로그램 우승자에 대한 인식 결과 ‘우승을 해도 스타가 되기는 어렵다.’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의 결과는 무분별한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으로 인해 우승자에 대한 인식의 희소성이 떨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트로트 관련 프로그램의 부정적인 인식과는 반대로 경연 프로그램에서 심사 공정성에 있어서는 아주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것은 흥미로운 결과이다. 트로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트로트 관련 미디어에 대한 인식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트로트 장르의 인기 현상을 잘 반영 하고 있다 할 수 있다. 반면에 트로트와 관련된 미디어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트로트 장르의 현재 높은 인기도에 반해 트로트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의 부정적인 인식이 존재한다는 것은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음악계에서 불고 있는 트로트 열풍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데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perceptions toward the trot genre and audition program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blems caused by biased media production can be predicted. First, this study’s results revealed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public about the trot genre. It was observed that viewers tend to enjoy trot-related entertainment shows more than trot music itself. Notably, it can be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trot craze began with the creation of trot singing stars on audition programs. Furthermore, this can be considered as evidence that reflects the current trend of trot popularit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on viewer attitude toward trot-related programs, there was a mix of negative and positive findings. The positive results include the popularity of trot shows that people from different generations can enjoy together, as there are now more trot programs than before that encompass all generations. The negative results include viewer aversion to trot itself or to excessive programming, which was caused by broadcasting stations deciding to produce too many programs that feature trot singers. In particular, the high negative perception toward entertainment featuring trot singers is an inevitable result of these media practices. In addition, the statement, “I don’t watch the trot-related TV programs because I don’t like the broadcasting station” was commonly given. This may be because the production of trot-related programs was started mainly by general programming cable TV channels. These TV channels have the freedom to make whatever shows they want, and they have produced countless trot-related TV shows. The TV shows produced by the general programming cable TV channels, unlike the ones made by the three major land-based TV stations of South Korea-KBS, MBC, and SBS-have unique characteristics based on each specific broadcasting station. Subsequently, this creates differences in individual preferences for different trot-related TV shows. The study also shows that viewers do not believe that success in these programs guarantees that the winners will become stars. This shows that the excessive production of trot-related TV programs has made it hard for viewers to recognize who has won the audition. Contrary to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se trot-related programs, a very positive evaluation was given in terms of the fairness of the judg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overall perception concerning trot itself and the perception of trot-related media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flect the popularity of the current trot genre. Importantly, viewer perception towards the media related to trot was negative. Contrary to the current high popularity of the trot genre, the existence of negative perceptions regarding trot-related media conten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media content production.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principally, it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trot craze that has gripped the Korean music industry.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관익(Park, Kwan Ik),양원모(Yang, Won Mo),이준영(Lee, Jun Young) . (2022).대중의 트로트 장르와 트로트 경연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연구. 대중음악, (), 79-121

MLA

박관익(Park, Kwan Ik),양원모(Yang, Won Mo),이준영(Lee, Jun Young) . "대중의 트로트 장르와 트로트 경연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연구." 대중음악, (2022): 79-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