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휴먼 담론과 고전서사의 인물론 연구

이용수 153

영문명
A Study on Post-Human Discourse and Character Theory of Classical Narrative: The Vengeful Ghost as Narrative Subject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오세정(Oh, Se-je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56권, 289~31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포스트휴먼 담론의 등장으로 인문학을 비롯한 학문 전 영역에서 종래의 관점이 아닌 새로운 관점에서 인간에 대한 다시 보기가 활성화되고 있다. 새로운 담론은 현상에 대한 지시나 해석뿐 아니라, 기존의 세계관이나 인간관에 대한 변화를 함축하고 견인한다. 따라서 새로운 담론을 토대로 하여 새로운 시각이나 접근 방법에 대한 모색은 고전문학 연구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이다. 본 논의에서는 고전서사에 자주 등장하는 비인간적 존재이면서 인간 존재의 가치와 성격을 잘 드러내는 ‘원귀(冤鬼)’를 대상으로 새롭게 인물 읽기를 시도하였다. 서사의 기호적 주체를 중심으로 보면, 원귀 서사는 여성이 원한을 갖게 되고, 원귀가 되어 원한을 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반부 서사에서 여성은 행위 주체가 되지 못하고 상태 주체에 머무는데, 이후 원귀가 되어 서사의 과업을 수행하는 행위 주체로 바뀐다. 서사의 세계에서 기호적 존재로서 주체의 행로는 ‘잠재화’ 양태에서 ‘현동화’ 양태를 거쳐 ‘실현화’ 양태로 이어지는데, 원귀는 인간에서 원귀로 변함에 따라 이 과정에 새로운 ‘가능화’ 양태의 단계를 마련한다. 원귀는 이제 주어진 세계 질서 속에서 제한되었던 행위의 범주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실현시키고 과업을 수행하는 주체가 된 것이다. 주체의 이런 변화는 인간으로서 당연히 존중받아야 하는 인간 존엄성이나 사랑의 실현과 같은 기본적인 욕망이 부정되는 현실 세계에 대한 분노의 표출에 근거한다. 정념의 주체로서 원귀는 현실 세계에서 무엇이 결핍되어 있는지와 무엇이 보충되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바로 이 점을 통해 원귀에 대한 새로운 읽기는 세계를 대변하고 그것의 질서를 부여하는 인간에 대한 성찰의 요구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ith the advent of post-human discourse, a review of human beings from a new perspective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point of view has been activated in all fields of study, including the humanities. The new discourse implies and drives not only indic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phenomena but also changes in the existing view of human beings or the world. Therefore, the search for a new perspective or approach based on a new discourse remains a valid problem in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paper, I made a new attempt to study the characters of the “Vengeful Ghosts” (冤鬼) that often appear in classical narratives. Although the vengeful ghost is an inhuman being, it reveals the value and character of human existence. The vengeful-ghost narrative is structured in such a way that a woman harbors resentment, and a ghost (transformed from a woman) resolves the resent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narrative, the woman does not become a subject of doing but remains a subject of being, and then becomes a vengeful ghost and a subject of doing, thereby completing the task of the narrative. In the world of narrative, the path of the subject as a semiotic existence leads from the “virtual” mode to the “actual” mode and then to the “real” mode. In the process of a vengeful ghost narrative, as the character changes from a female human to a vengeful ghost, we can identify a new stage, the “potential” mode. The vengeful ghost has now become a subject who realizes new possibilities and carries out tasks, breaking out of the limited scope of action in the given world order. This change in the subject is based on the expression of anger against the real world, which denies basic desires, such as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and love, that should be respected in human beings. As the subject of passion, the vengeful ghost shows what is lacking in the real world and what needs to be supplemented. Through this perspective, a new reading of the vengeful ghost is a request to reflect on the human being who represents the world and gives it its order.

목차

1. 새로운 담론의 출현과 고전문학 연구의 과제
2. 포스트휴먼의 관점과 고전서사 인물론의 방향
3. 원귀 서사의 구조와 서사 주체로서의 인물 분석
4. 비인간적 존재 원귀를 통한 인간의 이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세정(Oh, Se-jeong). (2022).포스트휴먼 담론과 고전서사의 인물론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56 , 289-318

MLA

오세정(Oh, Se-jeong). "포스트휴먼 담론과 고전서사의 인물론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56.(2022): 289-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