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감정단어 발화 시 억양 패턴을 반영한 멜로디 특성

이용수 36

영문명
T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Intonation Pattern of the Korean Emotion Words
발행기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저자명
이수연(Yi, Soo Yon) 오재혁(Oh, Jeahyuk) 정현주(Chong, Hyun Ju)
간행물 정보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13권 제2호, 67~8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정단어의 억양 패턴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여 멜로디의 음높이 패턴으로 전환한 뒤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만 19-23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기쁨, 화남, 슬픔을 표현하는 4음절 감정단어의 음성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80개의 어휘를 수집하고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절 당 평균 주파수(f0)를 측정한 후 평균 음정과 음높이 패턴의 멜로디 요소로 전환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감정단어의 음높이 패턴은 ‘즐거워서’ A3-A3-G3-G3, ‘즐거워요’ G4-G4-F4-F4, ‘행복해서’ C4-D4-B3-A3, ‘행복해요’ D4-D4-A3-G3, ‘억울해서’ G3-A3-G3-G3, ‘억울해요’ G3-G3-G3-A3, F3-G3-E3-D3, ‘불안해서’ A3-A3-G3-A3, ‘불안해요’ A3-G3-F3-F3, ‘침울해서’ C4-C4-A3-G3, ‘침울해요’ A3-A3-F3-F3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진행에서는 기쁨이 넓은 간격의 도약 진행, 화남이 좁은 간격의 도약 진행, 슬픔이 넓은 간격의 순차 진행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속성과 본질, 한국어의 음성 특성을 고려하여 감정단어의 억양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멜로디 요소에 반영한 특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체계적이고 객관화된 방법으로 말과 멜로디의 전환 가능성 및 적합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멜로디 창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onal characteristics in Korean emotion words by analyzing the pitch patterns transformed from word utterance. Participants were 30 women, ages 19-23. Each participant was instructed to talk about their emotional experiences using 4-syllable target words. A total of 180 utteranc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each syllable using the Praat. The data were transformed into meantones based on the semi-tone scale. When emotion words were used in the middle of a sentence, the pitch pattern was transformed to A3-A3-G3-G3 for ‘즐거워서(joyful)’, C4-D4-B3-A3 for ‘행복해서(happy)’, G3-A3-G3-G3 for ‘억울해서 (resentful)’, A3-A3-G3-A3 for ‘불안해서(anxious)’, and C4-C4-A3-G3 for ‘침울해서(frustrated)’. When the emotion words were used at the end of a sentence, the pitch pattern was transformed to G4-G4-F4-F4 for ‘즐거워요(joyful)’, D4-D4-A3-G3 for ‘행복해요(happy)’, G3-G3-G3-A3 and F3-G3-E3-D3 for ‘억울해요(resentful)’, A3-G3-F3-F3 for ‘불안해요(anxious)’, and A3-A3-F3-F3 for ‘침울해요(frustrated)’. These results indicate the differences in pitch patterns depending on the conveyed emotions and the position of words in a sentence. This study presents the baseline data on the tonal characteristics of emotion words, thereby suggesting how pitch patterns could be utilized when creating a melody during songwriting for emotional exp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연(Yi, Soo Yon),오재혁(Oh, Jeahyuk),정현주(Chong, Hyun Ju). (2016).감정단어 발화 시 억양 패턴을 반영한 멜로디 특성.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3 (2), 67-83

MLA

이수연(Yi, Soo Yon),오재혁(Oh, Jeahyuk),정현주(Chong, Hyun Ju). "감정단어 발화 시 억양 패턴을 반영한 멜로디 특성."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3.2(2016): 67-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