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분단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48

영문명
A Study on the divisional people: Focusing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differentiation process
발행기관
한국통일교육학회
저자명
안승대(An, Seung-Dae)
간행물 정보
『통일교육연구』제18권 제2호, 55~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분단인의 특성을 구조주의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우선 살펴보았으며, 이후 이러한 분단인의 형성 및 분화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단인은 분단구조 하에서 분단지향적 의식, 분단의식을 지닌 사람을 일컫는다. 분단인의 의식은 분단국가와 분단 이데올로기의 억압 속에서 형성되며, 이는 역사적 과정 속에서 집단 속에 전승되고 누적되어 온 집단적 무의식이자 사 회적 무의식으로서의 분단의식이다. 둘째, 분단인의 특성은 권력과 국가에 의해 만 들어진 국가주의적 인간형, 권위주의적 인간형, 분단 이데올로기에 복종하고 순응 하는 이데올로기적 인간형, 대립적 사고체계를 지닌 대립적 인간형이다. 셋째, 분단 인은 남한 사회에서 민주화 체제의 등장 이후, 남한과 북한 분단인의 분화, 남한 내부에서의 보수와 진보 세력간의 분화, 과거세대와 MZ세대 간의 분화의 과정을 거쳐왔다. 이상의 논의결과를 토대로 통일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분단인의 이해는 통일인 양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절대적 필수요소이다. 따라서 통일교육은 분단인의 의식, 무의식을 이해하는 교육, 분단에 대한 구조적 역사적 이해 교육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둘째, 통일교육은 분단의 역사적 구조적 전개 과정 속에서 왜곡 굴절되어 무의식 속에 억압되어 온 민족의 통일본능인 민족적 리비도를 해방시키고 자유롭게 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셋째, 분단인의 구조주의적 이해, 역사적 이해는 분단구조에서 기인하는 분단인의 분단의식을 이해하고 극복해 나가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아울러 분단에 대한 구조주의적 접근은 분단에 대한 구조주의적 접근의 한계, 탈구조적 접근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하는 통일교육이 될 필요가 있다. 넷째, 냉전구조가 해체되고 남한체제가 민주화되면서 분단인은 다양하게 분화되어 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분화의 시기, 다양화의 시기에는 통일교 육에 있어서도 다양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즉 남한과 북한의 분단인 분화, 남남 갈등으로 인한 남한 내부의 분단인의 분화, 세대간 분단인의 분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전략으로 통일교육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ivision factor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tructuralism, and then examined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process of division factors.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visional person refers to a person who has a divisional consciousness and a divisional consciousness under the divisional structure. The consciousness of division is formed in the oppression of the divided state and the divided ideology, which is a consciousness of division as a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social unconsciousness that has been passed down and accumulated in the group in the historical proces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vided people are the nationalist human type created by power and the state, the authoritarian human type, the ideological human type that obeys and conforms to the division ideology, and the confrontational human type with a confrontational thinking system. Third, since the emergence of the democratization system in South Korean society, the divisional people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divisions, differentiation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forces within South Korea,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past and MZ generation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results,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divided is an absolute essential el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fostering unification people. Therefore,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to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the divide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unconscious, and structur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division. Secon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liberates and frees the national Libido, the unification instinct of the people who have been distorted and refracted in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development process of division and suppressed unconsciously. Third,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divided people raise the need for education to understand and overcome the divisional consciousness of the divided people resulting from the divisional structure. In addition, the structuralist approach to division needs to be a unification education that simultaneousl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structuralist approach to divis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post-structural approach. Fourth, as the Cold War structure was dismantled and the South Korean system was democratized, the division is diversifying in various ways, and various response strategies are also needed in unification education during these periods of differentiation and diversification. In other words,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organized as an appropriate response strategy to the division of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division of division within South Korea due to the conflict between South and South Korea, and the division between gener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분단인의 이론적 배경과 분단인의 특성
Ⅲ. 분단인의 형성 및 분화과정
Ⅳ.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승대(An, Seung-Dae). (2021).분단인에 관한 연구. 통일교육연구, 18 (2), 55-82

MLA

안승대(An, Seung-Dae). "분단인에 관한 연구." 통일교육연구, 18.2(2021): 5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