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인관계기술과 경력만족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114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management and Moderated Mediation of Gender in the Links between Interpersonal Skill and Career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지성호(Sung Ho Ji) 김경연(Kyungyeon Kim) 강영순(Young-soon Kang)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28권 제5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력 패러다임은 조직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이동하며 개발 주체의 역할을 부각하고 있으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인 조직에서 대인관계와 관련된 개인 자원의 경력개발에 관한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대인 간 상호작용에 효과적으로 평가되는 대인관계기술과 행동 주체로서의 행위의 자발적 조절에 주목하는 자기관리, 경력에 대한 호의적 평가인 경력만족, 경력의 결과 인식에 주요 조건부 변수로 평가되는 성별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간의 영향력 관계, 영향력 메커니즘, 영향력 메커니즘에서 조건부 요인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서비스 업종과 공기업 종사자이고, 335명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Macro가 활용되었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Model 4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Model 7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대인관계기술은 자기관리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자기관리는 대인관계기술과 경력만족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며, 이 경로에서 조건부 간접효과의 영향력은 성별에 의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시사점은 개인 자원이 경력개발과 자기조절 활동을 촉진하는 주요 자원으로 적용될 수 있고, 자기조절 과정의 영향력 메커니즘에 있어 개인 자원이 주요 동인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주요 변수들의 매개과정에서 조건부 요인인 성별의 역할이 규명되어 경력개발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의 자원을 활용한 영향력 지각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ough the paradigm movement of career from organization-focus to individual-focus highlights the roles of individual, it is still necessary for scholars to consider the function of personal resources for career development in organizations regarded as a social interactive field. This study set up a few variables; interpersonal skill described on effective personal resource in social context, self-management focused on voluntary regulation of individual behavior, career satisfaction represented as a positive evaluation on career and gender as a remarkable conditional variables in awareness of career outcome. We tested two types of main effects, mediating effects, and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empirically. The data collected from 335 employees working at service and state-owned companies in Jeju province. We used SPSS Macro to test main effects, mediating effects with model 4,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ith model 7. Interpersonal skill were positively related to self-management and career satisfaction respectively. In the mediation process, self-management were partially mediated the links between interpersonal skill and care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gender in the path of interpersonal skill on career satisfaction via self-management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 personal resource facilitates career development and self-regulation activities and it enable to be a main driver 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basis of self-regulation. In addition, this finding supplies a meaningful implication of gender perception gap in the impact of personal resources for career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성호(Sung Ho Ji),김경연(Kyungyeon Kim),강영순(Young-soon Kang). (2021).대인관계기술과 경력만족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8 (5), 1-22

MLA

지성호(Sung Ho Ji),김경연(Kyungyeon Kim),강영순(Young-soon Kang). "대인관계기술과 경력만족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8.5(2021):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