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0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이용수 32

영문명
Aggregate of Korea in 2020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홍세선(Sei Sun Hong) 이진영(Jin Young Lee)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4권 5호, 581~59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0년에 국내 골재 총 채취량은 약 1억3,150만 ㎥이며, 이 중 모래는 약 4,386만 ㎥(33.3%), 자갈은 약 8,749만 ㎥(66.7%) 채취되었으며, 허가채취는 약 5,858만 ㎥(45%), 신고채취는 약 7,277만 ㎥(55%)이다. 골재원별로 보면 하천골재 약 50만 ㎥, 육상 골재 약 380만 ㎥, 산림골재 약 4,680만㎥, 바다골재 약 740만㎥, 선별파쇄 약 6,827만㎥, 선별세척 약 331만㎥, 그리고 기타신고골재가 약 110만㎥로 선별파쇄골재와 산림골재가 전체 채취량의 약 88%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가 광역시도에서는 골재를 가장 많이 채취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경상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충청남도, 인천광역시의 순이다. 2020년에는 231개 시군구의 약 67%인 153개 시군구에서 골재를 채취하였으며, 38개 시군구에서 100만 ㎥ 이상의 골재를 채취하였으며, 채취량은 전국 채취량의 65%인 약 8,567만 ㎥이다. 2020년도에는 약 1040여개소의 채취장이 운영되었으나 실제 골재를 채취한 채취장은 약 889개 채취장으로 선별파쇄장이 약 415개소로 가장 많으며, 산림골재, 육상골재장은 200개소 내외이다. 100만 ㎥ 이상을 채취한 채취장은 14개 채취장이며, 1만 ㎥ 이하의 소규모 채취장도 약 126개소이다. 약 420여개의 허가채취장에서 허가기간은 최장 32년에서 최소 2개월이며, 허가 잔여기간을 보면 2021년 이후 채취가능한 채취장이 약 55% 이며, 2020년 수준의 허가 골재채취물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00여개 이상의 채취장에 대해 허가연장, 신규허가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2020, about 132 million m3 of aggregate was produced in Korea. Of the total domestic aggregates produced in 2020, about 33.3 % was sand and about 66.7% was gravel. It estimated that of the 132 million m3 of aggregates in Korea in 2020, about 52% was produced by screening crushed aggregate, by 36% by forest aggregate, 3% by land aggregate, 5.6% by sea aggregate and 2.5% by washing each other, and 0.4% by river aggregate. This indicates that screening crushed aggregate and forest aggregate are the main producers of domestic aggregates. Leading producing metropolitan cities were Gyeonggi-do, Gyeongsangnam-do, Chungcheongbukdo, Gangwon-do, Chungcheongnam-do, Incheon in order decreasing volume, which together accounted for about 72.4% of total product. In 2020, aggregates were produced in 153 cities, about 67% of the 231 cities of Korea, 38 local governments have developed aggregates of more than 1 million m3, and the combined production of the 38 cities accounted for about 65% of national total. This means that the aggregate extraction trend of local governments is becoming larger and more concentrated. In 2020, at 153 local governments, a total of 889 operations produced aggregates with 420 operations by permission, 469 operations by declaration. A review of production by size of operation indicated that about 17 million m3 (12.8% of the total aggregate) was produced by 14 operations reporting production of more than 1 million m3. In about 420 operations, the maximum period of permit is 32 years to at least 2 months. When the remaining period of permit is taken into account, only about 55% of active operations can be developed the aggregate after 2021. In order to maintain the permitted aggregate volume by 2020 level, it will be necessary to obtain an extension permit or find new operation sites for at least 200 or more operation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전국채취현황
4. 골재원별 채취현황
5. 광역시도별 골재채취 현황
6. 시군구별 골재채취 현황
7. 골재채취장별 현황
7.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세선(Sei Sun Hong),이진영(Jin Young Lee). (2021).2020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자원환경지질, 54 (5), 581-594

MLA

홍세선(Sei Sun Hong),이진영(Jin Young Lee). "2020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자원환경지질, 54.5(2021): 581-5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