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청남도 해안지역의 비브리오 패혈증균 분포 및 분리주의 특성 분석
이용수 45
- 영문명
-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in Coastal Area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이현아(Hyunah Lee) 고영은(Young-Eun Ko) 최지혜(Jihye Choi) 이다연(Dayeon Lee) 여성순(Seoungsoon Yeo) 박종진(Jongjin Park) 이미영(Miyoung Lee) 최진하(Jinha Choi) 박준혁(Junhyuk Park)
- 간행물 정보
- 『1.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7권 제5호, 479~48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Vibrio vulnificus has been frequently detected in seawater, fish, and shellfish mainly in the coastal area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alyzed biochemical properties, genetic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environmental sources in coastal area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from 2019 to 2020.
Methods: A total of 1,510 samples were obtained from six different site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solated strains from the samples were identified by a VITEK 2 system and MALDI-TOF.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for 85 isolates was done by microdilutio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ethods, and 11 isolates were analyzed for 16s rRNA sequences in multiple alignments.
Results: Among the 1,510 samples taken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306 strains were isolated and the detection rate of V. vulnificus was 20.3%. One hundred eighty-eight strains (24.6%) from seawater and 118 strains (15.8%) from mud flats were isolated. It was mainly detected in July (17.3%), August (36.5%), and September (28.8%), and the proportion was 82.0%. Based on the CLSI-recommended breakpoints, V. vulnificus isolates were all susceptible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amikacin, gentamicin, ciprofloxacin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However, nonsusceptible isolates to ampicillin, ampicillin/sulbactam, cefazolin, cefoxitin, imipenem, tetracycline and chloramphenicol were identified. In the analysis of the nucleotide sequences for 16s rRNA of V. vulnificus isolates, it was confirmed that mutations frequently occurred between nucleotide number 922 and 952, and 98.2% to 100% nucleotide identities between isolates was verifi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of Vibrio vulnificus infection by describing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Vibrio vulnificus strains isolated in coastal area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의 글]이번 호의 주목할 논문 - 47권 5호
- 수산생물 중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 및 위해평가 시스템 개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47권 제5호 목차
- 지역간 상대위험도 변동을 고려한 미세먼지 기인 질병부담 및 사회경제적 비용 추정 연구
- 메탄올 작업장 노출 평가에의 EU REACH 프로토콜 적용: Targeted Risk Assessment
- 수용체 모델(PMF)를 이용한 서울시 대기 중 VOCs의 배출원에 따른 위해성평가
- [공지]온라인 저널 홈페이지 및 논문 투고 사이트 개통 안내
- HPLC-AFS를 이용한 해산물 중 비소 화학종 분리정량
- 다중이용시설별 실내공기 오염물질 농도분포 및 기준치 이상 값의 구성비 조사
-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의 임신 마우스 위내투여에 따른 모체 및 신생자 독성평가
- IoT 기반 지하역사 내 바이오필터시스템 설치에 따른 실내공기질 변화 및 영향 요인 분석
- 건축자재 라돈 방출률 평가를 통한 공동주택 내 라돈 기여율 평가
- 충남지역 다중이용시설의 환경수계에서 분리한 레지오넬라균의 특성 분석
- 화학물질 독성 빅데이터와 심층학습 모델을 활용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선별 방법: 세정제품과 세탁제품을 중심으로
- 충청남도 해안지역의 비브리오 패혈증균 분포 및 분리주의 특성 분석
- 환경보건종합계획을 통해 살펴본 환경보건정책: 지난 10년과 향후 10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