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령전 ‘언어 및 발현 문해능력’과 초등학교 1, 2학년 문해력 수준 간의 관계

이용수 400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Emergent Literacy’ before School Age and Literacy Performance Level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Data Mining Decision Tree Model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은주(Eun Ju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3, 568~588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 시기에 한글 읽기와 쓰기 능력 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령전 발현 문해능력과 언어 이해 요소들을 살펴보고, 언어치료 및 유아교육 현장에서 어떠한 언어 및 발현 문해능력에 대한 명시적인 교수가 요구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육아정책연구소(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의 2014년 7차 데이터(유치원생, 6세)와 2015년 8차(초등학교 1학년, 7세), 2016년 9차(초등학교 2학년, 8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학교 1-2학년 저학년 시기의 읽기와 쓰기 수행 수준이 또래 평균 20% 이상 아동들은 학령전에 ‘책에 관심을 가지고 스스로 읽는 능력’, ‘쓰기 관련 활동을 자주 선택하고 어려워하지 않는 태도’, ‘단어 운율 맞추기 놀이를 능숙하게 할 수 있으며’, ‘연결 지시어를 이해하고 지시에 따라 행동할 수 있고’, ‘몇몇 쉬운 단어 또는 어려운 단어도 쓸 수 있는 문해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이번 연구결과는 읽기 및 쓰기 수행 수준이 낮은 대상자들에게는 어떠한 부분의 문해능력에 더 집중적인 언어치료 및 누리과정교육이 주어져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language and emergent literacy before school age) affecting Hangul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level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ethods: A decision tre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on the 7th (kindergarten, 6 years old), 8th (first grade, 7 years old), and 9th data (second grade, 8 years old). Results: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levels of 1st and 2nd grade children were related to reading first grade books independently with comprehension, reading most words correctly and answering questions about what was read, making predictions while reading, and retelling story after reading. Children with reading levels within the top 20 percent frequently chose reading & writing-related activities, frequently looked at or read books for pleasure or to gain information, looked for books related to a personal interest or class topic, listened with interest and concentration to stories read aloud, made rhyme words, followed directions that include a series of actions, and were able to write relatively simple words such as ‘mom’ and ‘dad’. Conclusio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what areas of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given to children with low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Eun Ju Lee). (2021).학령전 ‘언어 및 발현 문해능력’과 초등학교 1, 2학년 문해력 수준 간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3), 568-588

MLA

이은주(Eun Ju Lee). "학령전 ‘언어 및 발현 문해능력’과 초등학교 1, 2학년 문해력 수준 간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3(2021): 568-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