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성 난독 초등 1학년생의 읽기 심도와 단어 및 음절구조에 따른 단어 해독력

이용수 416

영문명
Word Decoding Abilities of 1st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Considering Reading Severity and Word and Syllable Structure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유해림(Haerim Yua) 원효은(Hyoeun Wona) 배소영(Soyeong Pa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3, 589~60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한국 발달성 난독 초등 1학년 집단을 읽기능력 심도로 나누어 단어의 의미 유무, 단어구조 및 음절 내 위치에 따른 읽기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 초등 1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 20명에게 한국어 읽기검사(KOLRA)의 하위 검사인 단어해독과제를 실시하였다. 대상아동의 경우, 듣기이해력과 지능검사에서 정상범주에 속하였음에도 심도의 단어읽기능력을 가진 아동이었다. 단어 해독능력에 따라 심도 집단과 경심도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자소-음소 일치형 단어를 의미 유무, 단어구조, 음절 내 위치에 따른 집단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심도 집단과 경심도 집단 모두 의미 단어 읽기와 무의미 단어 읽기 사이의 수행 차이가 나타났다. 두 집단은 모두 단어 내 종성 자소 해독에 어려움을 보였는데, 심도 집단의 경우 종성 자소의 개수가 2개일 때 현저한 해독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은 초성 자소 읽기에 유사한 수행을 보였으나, 심도 집단의 경우 경심도 집단에 비해 중성 자소, 종성 자소 읽기에 더욱 어려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한국 발달성 난독 초등 1학년 아동들은 단어와 음절구조를 고려한 단어 해독 지원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어휘경로를 활용한 의미 단어 읽기뿐만 아니라 중성 및 종성 자소의 구성소 단위(grain size)를 고려한 무의미단어를 통해 비어휘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심도의 난독증을 가진 한국아동의 단어해독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word decoding abilities of 1st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according to the level of decoding difficulty, meaning availability, word and syllable structure. Methods: Twenty Korean 1st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participated in 40 word-reading tasks individually. All of them had severe decoding difficulties, even with normal listening comprehension (KORLA; Pae et al., 2015) and intelligence (K-CTONI-2; Park, 2014). The group differences by decoding difficulties were compared considering the meaning of words, the number of syllable-final graphemes, and the position of each grapheme in a syllable. Results: Both the severe and less-severe group in Korean word-decoding difficulties revealed the gaps between word reading and nonword reading. Both groups had decoding difficulties when a word had syllable-final graphemes, while the severe group had even lower performances in word readings with 2 syllable-final graphemes. Both groups showed similar performances in reading syllable-initial graphemes while the severe group had lower performances both in reading syllable-medial vowel graphemes and syllable-final consonant graphemes compared to the less-severe group. Conclusion: Korean 1st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seemed to be in urgent need of decoding support considering word and syllable structure. Triggering the non-lexical route with non-words considering the grain size of syllable-medial vowel graphemes and syllable-final graphemes would facilitate word decoding abilities of severely dyslexic Korean childre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해림(Haerim Yua),원효은(Hyoeun Wona),배소영(Soyeong Pae). (2021).발달성 난독 초등 1학년생의 읽기 심도와 단어 및 음절구조에 따른 단어 해독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3), 589-600

MLA

유해림(Haerim Yua),원효은(Hyoeun Wona),배소영(Soyeong Pae). "발달성 난독 초등 1학년생의 읽기 심도와 단어 및 음절구조에 따른 단어 해독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3(2021): 589-6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