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의 퍼스널컬러 인식, 메이크업행동, 이미지관리행동 간의 관계 연구

이용수 805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Personal Color Perception, Makeup Behavior, and Image Management Behavior
발행기관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저자명
이영아(Lee Young A)
간행물 정보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3권 제2호, 17~3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감성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4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퍼스널컬러 인식이 메이크업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메이크업행동이 이미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 30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퍼스널컬러 인식은 외부조언, 직접적 인식, 색채선호인식으로 분류되었으며, 메이크업행동은 만족추구, 유행추구, 기능추구, 사회성취추구으로 분류되었고, 이미지관리행동은 도구성, 유행성, 대인지향성, 동조성, 개성, 과시성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측정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퍼스널컬러 인식, 메이크업행동, 이미지관리행동의 모두 하위변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직접적 인식이 메이크업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외부조언, 색채선호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행추구가 이미지관리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기능추구, 만족추구, 사회성취추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분석을 종합하여 보면 여성의 퍼스널컬러 인식은 메이크업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sonal color perception on makeup behavior and the effects of makeup behavior on image management behavior in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40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302 women in their 20s and 40s, residing 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al color recognition was categorized into external advice, direct recognition, and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while makeup behavior was categorized into satisfaction seeking, fashion seeking, function seeking, and social achievement seeking. Image management behavior was categorized into instrumentality, epidemic,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which was further divided into sympathy, personality, and showin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mong all sub-variables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makeup behavior, and image management behavior. Third, direct recogno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makeup behavior, followed by external advice, and color preference perception. Fourth, the pursuit of fash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image management behavior, followed by function pursuit, satisfaction pursuit, and social achievement pursuit. Comprehensive analysis revealed that women’s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has an effect on makeup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설계
Ⅲ. 결과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아(Lee Young A). (2021).여성의 퍼스널컬러 인식, 메이크업행동, 이미지관리행동 간의 관계 연구.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3 (2), 17-31

MLA

이영아(Lee Young A). "여성의 퍼스널컬러 인식, 메이크업행동, 이미지관리행동 간의 관계 연구."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3.2(2021): 17-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