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과정참여와 창의적 인성
이용수 142
- 영문명
- Classification of Goal Orientation in College Students and Relation with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by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민(Kim, Kyungmin)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21권 제3호, 57~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중다목표관점에서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 유형을 살펴보고, 성취목표지향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과정참여와 창의적 인성에서의 차이를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 4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학생 406명이었다. SPSS21.0과 M Plus 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잠재프로파일은 ‘높은수준동기화형’, ‘접근중심동기화형’, ‘중간수준동기화형’, ‘회피중심동기화형‘,‘낮은수준동기화형’ 총 다섯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결과변인의 집단 비교 결과,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과정참여와 창의적 인성의 경우, 접근중심동기화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과정 참여, 창의적 인성에 있어서 높은수준동기화형과 접근중심동기화형은 회피중심동기화형과 낮은수준동기화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을 응답자의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고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과정 참여, 창의적 인성과의 연관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rofiles of college students in a multiple goal perspectiv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6 college student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M plus 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based on Latent Profile Analysis (LPA) showed that classified latent profiles were defined as ‘high level of motivation group’, ‘approach focused motivation group’, ‘middle level of motivation group’ ‘avoidance focused motivation group’ and ‘low level of motivation group’. Second, the approach focused motivation group had the highest scores in all distal outcomes. An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distal outcomes. Specifically, the approach focused motivation group and high level of motivation group showed much higher level than the avoidance focused motivation group and low level of motivation group in all outcome variab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classified by students’ actual response patterns and related factors, to the classifications were t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茨瓦内宣言》对非洲信息伦理发展的影响及其当代意义
- 山东省与非洲国家公共卫生领域交流合作:现状评估与对策思考
- An Exploration of Bloodstain Aging Analysis Methods Based on Clustering Algorith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