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양교육의 가치 측정 지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이용수 93

영문명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Value of Ocea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항해항만학회
저자명
이슬기(Seulgi Lee) 김태균(Tae-go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5권 제4호, 224~230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공학 > 해양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5년 정부가 첫 해양교육 정책인 「청소년 해양교육계획(2005∼2010)」을 발표한지 16년이 지났다. 정부의 노력으로 해양교육 중요성에 대한 국민의 공감대는 형성되었지만, 그동안 수립한 정책이 국민을 비롯해 사회경제에 미친 영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양교육 서비스에 개인들이 부여하는 가치의 정확한 정의와 측정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해양교육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간 해양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 차이를 파악하고 해양교육의 효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해양교육의 가치를 정의하고 국민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치 항목에 대해 분류하였다. 둘째, 분류된 가치 항목들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각 항목별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 CVR)를 측정하여 최종 지표와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분석 결과 32개의 지표 항목 중 CVR값 0.6 이상인 18개의 항목이 최종 채택되었다. 인지적 가치 범주에는 개인의 해양 지식 수준과 인식 변화, 문제해결 역량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들이 선정되었으며, 행동적 가치 범주에는 좀 더 구체적으로 해양을 바라보는 태도와 관계, 책임감 있는 행동 변화를 판단할 수 있도록 지표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해양교육 서비스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은 정부가 해양교육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데 있어 안정적인 예산 확보 및 인적자원 확대의 당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16 years since the government announced its first Ocean Education Policy in 2005. Although the public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ocean education has been formed, it is impossible to objectively analyze the impact of the policy on the society or the economy.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behaviors about the ocean between groups participating in ocean education and non-participating groups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ocean education by developing measurement indicators for the value that individuals gave to ocean education services. To conduct this study, first, the value of ocean education was defined and value items that could be provided to individuals were classified. Second, to develop indicators that could measure classified value item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of various experts. Third, by measuring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for each item, final indicators and questionnaire were derived. As a result of Delphi analysis, 18 items with a CVR value of 0.6 or higher were finally adopted out of 32 indicator items. In the cognitive value category, indicators that could identify an individual s level of knowledge of the ocean, change in percep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selected. In the behavioral value category, indicators were expanded to judge changes in attitudes and relationships toward the ocean and responsible behavior in more detai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 basis for directly judging the value of ocean edu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government to the people. Results of such analysi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a stable budget and the justification for expanding human resources in the government s continuous promotion of ocean education policie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슬기(Seulgi Lee),김태균(Tae-goun Kim). (2021).해양교육의 가치 측정 지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5 (4), 224-230

MLA

이슬기(Seulgi Lee),김태균(Tae-goun Kim). "해양교육의 가치 측정 지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5.4(2021): 224-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