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젠더리스 패션 표현특성에 따른 색채 분석
이용수 50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lor Analysis by Genderless Fashi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최지은(Ji-Eun Choi) 문윤경(Yun-Kyeong Mun)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5권 제2호, 33~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factors of genderless fashion design and objectifying various categories of neutral images that are colorful and the boundaries of which are vaguely used. The method of this study involved literature research and color image analysis. First, we formulated a theoretical basis for empirical research to derive genderless colors by typifying genderl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rough prior work. Second, the color image analysis methodology was implemen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lor analysis program. From the 2011 S/S collection to the 2020 F/W collection, 20 seasons were analyzed, and there were 120 collections of 20 seasons. On the basis of that, 480 colors of genderl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using the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Program, and categories and areas of genderless colo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lor analysis by genderl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showed that genderless’s compromise was dark blue (PB), with low-light and grayish-toned purple blue (PB), and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colorless (N) and gender. In the obfuscated series, beige and brown’s calm color images were shown, and in the same color, purple blue (PB), purple (P), and blue (B), were analyzed as benign with masculinity. Enjoyment was shown to have a high sense of color rhythm, with low-light dark tones and high-light strong tones. The colors shown in sensuality were mainly achromatic (N) and warm-tone, indicating that the frequency of clothes using skin-exposed materials was high. The colors shown in genderless s exaggeration were analyzed to be used as a means of maximizing and exaggerating the appearance of costumes using medium- and medium-high-light red (R), purple blue (PB), and red purple (RP) with low-light base colors. Historicity is a strong-toned gold color that represents an antique and heavy image, while other obtuse colors represent a past-oriented, calm, and formal image.
목차
Ⅰ. 서론
Ⅱ. 젠더리스 패션 표현특성
Ⅲ. 젠더리스 패션 표현특성별 색채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 문제행동 지도전략
- 무장애디자인 관점의 충북 청주시 노후 주거지역 피난경로 평가 및 개선방안
- 율무 부탄올 분획의 항산화 효과
-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게임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
- 코로나19 상황에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Factors Influencing Purchase Intention for E-commerce Live Streaming: Orientation toward the Chinese 2030 Generation
- 창원시 베이비부머세대 여성들의 여가 라이프스타일과 패션소비 실태조사
- 차별속의 차별
- 청주지역 시내버스 운전자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과 건강위험도
- 젠더리스 패션 표현특성에 따른 색채 분석
- 한·중 성인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 비교
- 영화 작은 아씨들의 의상 색채 분석
- 한·중 유통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2030 소비자 인식 연구
- 사용자 중심의 도서관 공간과 가구 계획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방향 제안
- 어머니의 자아분화가 불안과 자녀와의 관계 및 유아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잠재프로파일 분석에 따른 중학생의 교우관계 특성 유형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의 사랑에 관한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