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숙인의 지원주택 거주가 주거독립 및 지원주택인식에 미친 영향
이용수 49
- 영문명
- The Impact of Homeless s Supportive Housing Dwelling on Housing Independence and Supportive Housing Awarenes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정책학회
- 저자명
- 천성희(Cheon, Seong Hee) 오정석(Oh, Jung Seok)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정책연구』제18집 제1호,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2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59/159025.jpg)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upportive Housing is said as a housing including services for vulnerable people such as homeless, disabled and elderly people. Supportive Housing is said to the better housing for the vulnerable people because it supports and teaches them skills of the independent living and communication for neighborhood in some wester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Supportive Housing over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vulnerable people in Seoul, Korea. This study focused to the pilot project.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table supply of supportive housing, the government needs strategic intervention and preparation. Second, differentiated supportive housing services are needed. Third, related organizations, budgets, and manpower are essential for smooth supply of supportive housing and customized support ser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supportive housing including cooperation partners, scope of cooperation, method, and budget burd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책학분야 NEW
- 도시부동산연구 15권 4호 목차
-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비부담 결정요인 분석 : 장애인과 비장애인 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 빈집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 영국·일본·캐나다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