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spect and Trend of Recognition on Choi Chi-Won in the Goryeo Era: Focused on keeping the ancestral tablet in Munmyo (文廟 , the Confucian shrine)

이용수 30

영문명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신선혜(Sin,Sun-hy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64권 제2호, 5~2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치원은 신라 당대 뿐만 아니라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추숭과 함께 행적에 대한 다수의 평가가 이루어진 점에서 그를 한 시대, 한 지역만을 대표하는 인물로 규정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특히 최치원에 대한 후대 인식의 양상이 문묘 배향에 대한 당부(當否)를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므로 문묘에 배향(配享)하게 되는 배경과 의미, 나아가 출향(黜享) 및 복향(復享)의 과정을 짚어봄으로써 최치원 인식의 양상과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다만 그간의 연구에서는 고려시대의 경우 최치원의 문묘 배향이 조선까지 변화없이 지속되는 것으로 보아 최치원 인식의 양상 역시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고 파악하였다. 그러나 고려 후기가 되면 최치원의 신위는 한 차례 출향된다. 그리고 언젠가 복향되어 조선 건국 후 얼마되지 않은 시점에 최치원과 함께 설총, 안향 등이 문묘에 배향되어 있다는 기록이 보인다. 본고에서는 최치원의 문묘 배향 여부를 중심으로 고려 현종 대 배향되기까지 고려 건국을 전후한 시기부터 고려 왕실은 ‘밀찬조업설(密讚祖業說)’이나 ‘답견훤서(答甄萱書)’ 작성에 최치원을 가탁함으로써 최치원 추숭의 발판을 마련하였고 이로 인해 포섭되고 고려의 유학관료로 성장한 신라계 유학자들이 현종 대 이르러 최치원을 문묘에 배향하게 하는 배경으로 작용하였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현종 대가 대외적으로 침략과 교류가 공존한 시기였던 만큼 최치원의 문묘 배향에 대외적 자신감이 영향을 주었을 것임을 상정하였다. 한편 고려 후기 최치원의 문묘 출향의 주체를 원(元)으로 보고 중국과 대등한 신라 문화의 수준을 보여준 최치원이 문묘에 배향됨으로써 고려인들의 민족의식이 고취될 수 있다고 파악한 원(元)에 의해 문묘에서 출향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는 고려 왕의 재가없이 진행된 것으로 기록된 점에서 얼마되지 않아 복향되었을 것인데, 여기에는 공민왕 대 진행된 반원(反元) 기조가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고려시대 최치원의 문묘 배향과 출향, 복향의 과정과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최치원 인식의 양상과 추이를 파악해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t is not enough to define Choi Chi-Won as a representative of one era and region, given that he was evaluated on his past with praise in many ways, not only during the Silla period, but also during Goryeo and Joseon. In particular, since the aspect of Choi Chi-Won’s future recognition was discussed around the propriety of the Confucian Shrine (文廟) canonization, one can look at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anonization of the Confucian Shrine as well as process of going out and returning to the Confucian Shrine in order to observe the aspects and trends of Choi Chi-Won’s recognition. However, research until today has shown that Choi Chi-Won’s the Confucian Shrine canonization in the Goryeo Dynasty continued until Joseon Dynasty without any change, so the aspect of Choi Chi-Won’s perception did not show any change. However, in the late Goryeo period, Choi Chi-Won’s godship is lost once. And records show that Choi Chi-Won, along with Seol Chong (薛聰) and An Hyang (安珦), were enshrined in the Confucian Shrine shortly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canonization of Choi Chi-Won, we show that the Goryeo royal family established a foothold for the praise of Choi Chi-Won by using Choi Chi-Won in writing the theory of ‘Milchanjoup(密讚祖業)’ or ‘Dapgyunhwonseo(答甄萱書)’ from the period around the founding of the Goryeo dynasty until the canonization in the Confucian Shrine during the period of King Hyenjong and that this acted as a background for the Silla scholars, who were taken over and became a Confucian bureaucracy in Goryeo, to canonize Choi Chi-Won in the Confucian Shrine in the early days of King Hyeonjong. At the same time, as the period of King Hyeonjong was a time when invasion and exchange coexisted externally, we also considered that external confidence would have influenced the of Choi Chi-Won’s canonization. On the other hand, we regard the Yuan (元) dynasty as the subject of Choi Chi-Won’s expulsion from the Confucian Shrine the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and see that the Yuan dynasty took Choi Chi-Won out from the Confucian Shrine as they recognized that the canonization could inspire the Goryeo people’s national consciousness since Choi Chi-Won showed the level of Silla culture equivalent to that of China. However, since it was recorded that this proceeded without the approval of the King of Goryeo, we consider that he was soon reinstated. Here, we consider that the background behind the reinstatement was based on the anti-Yuan stance that was held during the period of King Gongmin. In this way, by examining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Choi Chi-Won’s departure and return from the Confucian Shrine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patterns and trends of the perception on Choi Chi-Won.

목차

Ⅰ. PREFACE
Ⅱ. Remembrance and keeping the ancestral tablet in the Confucian shrine for Choi Chi-Won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Ⅲ. Removal from and return to the Confucian Shrine of Choi Chi-Won’s ancestral tablet in the late Goryeo dynasty
Ⅳ.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선혜(Sin,Sun-hye). (2021).Aspect and Trend of Recognition on Choi Chi-Won in the Goryeo Era: Focused on keeping the ancestral tablet in Munmyo (文廟 , the Confucian shrine). 인문사회과학연구, 64 (2), 5-20

MLA

신선혜(Sin,Sun-hye). "Aspect and Trend of Recognition on Choi Chi-Won in the Goryeo Era: Focused on keeping the ancestral tablet in Munmyo (文廟 , the Confucian shrine)." 인문사회과학연구, 64.2(2021): 5-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