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에 관한 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Teachers Awareness on the Necessary Adaptive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ir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배연경(Bae, Yuen-Kyung) 박재국(Park, Jae-Kook) 김영미(Kim, Young-Mi)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3권 제3호, 111~13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7.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에 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게 될 전환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초등학교 및 병설유치원또는 일반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N=218)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사들은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 중 일반적 기술, 사회적 기술, 의사소통 기술, 학업적 기술의 순으로 그 필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 기술에서는 신변처리와 관련된 기술을, 사회적 기술에서는 스스로의 행동 통제 기술을,의사소통 기술에서는 이름 에 적절히 반응하기, 필요로 할 때 도움 청하기, 자신의 감정과요구를 언어로 표현하기 등과 관련된 기술을, 마지막으로 학업적 기술에서는 다른 사람의활동을 방해하지 않기 기술을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초등학교 이후의 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학업과 관련된 기술을 습득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신변자립을 위한 기술 획득이 선행되어야 하며, 학습에 임하기 위한 태도와 또래와 통합되기 위한 스스로의 제어능력 및 표현 능력 등의 습득이 먼저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한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정기적으로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며, 아동을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 노출시킴으로써 전환 이후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은 교사자격 유형, 교직경력, 장애아동 교육 경험 유무, 특수교육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 대부분의 영역에서 변인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장애유아적응기술에 관한 공통된 인식은 장애유아의 교육기관에서의 생활이 단지 한 학급의 적응에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체 기관에서의 적응이 함께 이루어질 때 보다 성공적인교육기관 생활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무척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서 기술된 하위 기술들을 그 우선순위에 따라 초등학교로 전환되기 이전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연계하여 지도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중심으로 유아교육과정이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ecessary adaptive skills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to teach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ve reached a transition period to elementary schools by finding out the awareness among teach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daptive skills of disabled children necessary for their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s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necessary adaptive skills depending on each teacher vari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issues were determined:First, teachers awareness of adaptive skills of disabled children necessary for their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s;Second, differences in awareness of adaptive skills of disabled children necessary for their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s depending on teacher variables. 218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with a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elementary school and preschool teachers in Pusan metropolitan city. Questionnaire sheets were written based on prior studies and handed out to subjects and then collected to analyze the results with SPSS 14.0 for Windows. First of all, to analyze the overall awareness of teachers and of each subcategory regarding the adaptive skills of disabled children necessary for their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s among the study subjects, the basic descriptive statistics(M,SD) was used, and for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across teacher variable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us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First, concerning teachers general awareness of the necessary skills in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s among disabled children, 55 adaptive skills were found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average levels. In terms of the sub-category of adaptive skills, general skills were perceived as most important,while academic skills were found to be thought of as comparatively less important. Regarding specific items, they gave the first priority to ‘Express desire to go to the bathroom,’ while putting less importance on ‘Can say days of the week in order. Second, when it comes to differences in awareness depending on teacher variables on necessary adaptive skills of disabled children in their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ub-category item except a few depending on teacher types, teaching experience,experience in teaching the disabled children and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which indicates that they perceive adaptive skills in similar way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here:First, for a successful adaptation to elementary schools among disabled children, skills in diverse areas rather than a certain field need acquiring;Second, teachers of the two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ho play main roles in their transition need provide cooperative help, which is ideal to successful adaptation to school life after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s among the disabled children if the common factors considered important are used in education in transitional instit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연경(Bae, Yuen-Kyung),박재국(Park, Jae-Kook),김영미(Kim, Young-Mi). (2010).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에 관한 교사의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3 (3), 111-139

MLA

배연경(Bae, Yuen-Kyung),박재국(Park, Jae-Kook),김영미(Kim, Young-Mi).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에 관한 교사의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3.3(2010): 111-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