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부 투과 개선을 위한 고형지질나노입자내 Ascorbyl glucoside 봉입 설계 및 특성화
이용수 80
- 영문명
-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Ascorbyl Glucoside loaded Solid Lipid Nanoparticles to improve skin penetration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여수호(Sooho Yeo)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3호, 662~66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피부 미백 개선 기능성 화장품 소재이자 친수성 소재인 ascorbyl glucoside (AG)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형지질나노입자(SLN)을 설계하였다. AG는 이중 에멀젼 가온 용융유화법으로 SLN 내에 봉입하였다. 제조 된 AG 봉입 SLN의 입자크기, 다분산 지수, 제타전위, 봉입율등의 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피부 투과시험의 경우 인체 유래 인조 피부 조직 모델 중 SkinEthic RHE를 사용하였다. 제조 된 AG 봉입 SLN의 평균 입자크기는 172.65 - 347.19 nm 이었고, 평균 제타전위는 -22.90 - -41.20 mV이었다. SLN 내 AG의 평균 봉입효율은 44.18 - 57.77%이었고, 평균 봉입율은 12.83 - 16.15%이었다. AG 봉입 SLN의 피부 투과 결과는 SLN을 적용하였을 때가 적용하지 않을 때 보다 약 3.7 - 7.4 배 피부 투과율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 된 SLN은 AG의 국소약물전달시스템으로 사용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sign ascorbyl glucoside (AG) loaded 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 to improve skin penetration of AG. AG loaded SLNs were prepared using double emulsion method. The prepared AG loaded SLNs investigated particle characteristics (particle size, polydispersity index, zeta potential, loading capacity). Skin penetration study was carried out using SkinEthic RHE as one of the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 models. The mean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of SLNs were 172.65 - 347.19 nm and -22.90 - -41.20 mV, respectively. The loading capacity of AG loaded SLNs demonstrated that loading efficiency and loading amount were ranged from 44.18% to 57.77% and 12.83% to 16.1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penetration showed that all SLNs enhanced the skin penetration of AG and the amount of AG from SLNs were approximately 3.7 - 7.4 times higher than that from AG solution. Therefore, AG loaded SLN might be a promising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태권 시범 선수들의 서전트 점프,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
- 피부 투과 개선을 위한 고형지질나노입자내 Ascorbyl glucoside 봉입 설계 및 특성화
- 살구씨 오일에 의한 화학적 손상모발의 개선 효과
- Mass spectrometry와 NMR Spectroscopy를 이용한 1, 2-Octanediol Galactoside의 효소합성 확인
- 모바일 홈트레이닝 활용에 따른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도 인과관계
- 소형병원의 e-서비스품질, 관계의 질, e-충성도의 영향관계
- 골프 퍼팅 시 운동학적 변인과 경사도 인지능력 간 상관성 분석
- Eruca sativa 에칠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의 미백 및항균효과를 이용한 화장품 응용연구
-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경험이 구매만족도와 지속적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세라마이드 함유 에토좀의 물성과 피부흡수
- n-부탄올 및 NaCl 수용액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TTAB에 의한 크레졸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에 따른 체력과 인지기능, ADL, IAD, 및 심리적 변인의 차이
- 요양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ND금연동기유발 프로그램이 흡연고등학생의 일산화탄소, 금연 자기효능감, 흡연일수, 1일 흡연량에 미치는 효과
-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대학교 교양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과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간의 관계
- 8주간의 맵시 운동 프로그램이 중년여성들의 보행 동작 시지면반력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의 병행이 노화쥐 골격근 유형별 혈관신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전기화학 캐퍼시터용 PVC기반 가교 음이온교환 멤브레인의 제조 및 특성
-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 대한 12주간의 가정기반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스포츠 코칭효능감의 원천(source)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1, 2-Octanediol과 1, 2-Octanediol Galactoside의 항균력 및 세포독성 비교연구
- 산딸기 잎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
-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소도구와 발의 불안정성 차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분석
- HaCaT cell에서 황련 추출물(Coptis chinensis)의 피부보습과 항염증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내장 지방조직의 혈관신생 조절에 대한 hesperidin과 quercetin의 영향
- 피부 건강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Derma Genie™-DLP121의 생리 활성 평가
- 친수성 곁가지를 함유한 콘텍트렌즈의 제조와 물리적 특성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