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ass spectrometry와 NMR Spectroscopy를 이용한 1, 2-Octanediol Galactoside의 효소합성 확인
이용수 39
- 영문명
- Confirmation of Enzymatic Synthesis of 1, 2-Octanediol Galactoside using Mass Spectrometry and NMR Spectroscopy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이향렬(Hyang-Yeol Lee) 진홍종(Hong-Jong Jin) 안승혜(Seung Hye An) 이혜원(Hye Won Lee) 정경환(Kyung-Hwan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3호, 824~83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안전한 화장품용 방부제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1, 2-octanediol (OD)에 galactose 한 분자가 결합된 1, 2-octanediol galactoside (OD-gal)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재조합 대장균의 β-galactosidase (β-gal)를 이용하여 transgalactosylation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OD-gal 합성을 확인 하기 위하여 mass spectrometry 분석과 NMR ( 1 H- and 13 C-) spectroscopy 분석을 실시하였다. 합성 반응물에서 m/z=331.1732의 sodium adduct ion 형태로 OD-gal 분자의 합성을 확인하였고, 정제된 OD-gal의 NMR 분석을 통하여 OD-gal의 1 H NMR 스펙트럼에서 OD에 갈락토실화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다양한 피크를 확인하였다. 1 H NMR 스펙트럼의 다운필드인 δ H 4.39 ppm과 δ H 3.98~3.55 ppm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피크들은 이들이 OD에 갈락토실화가 되었다는 것을 잘 암시하고 있으며, 또한 1 H NMR 스펙트럼의 업필드에서 나타나는 δ H 1.52~1.26 ppm과 0.89 ppm의 피크는 OD의 CH 2 와 CH 3 작용기로 부터 나타나는 피크로써 OD가 본 물질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13 C NMR 스펙트 럼에서는 OD-gal의 알파-아노머와 베타-아노머의 구조에서 기인하는 총 24개의 탄소피크가 나타났고, 각 아노머 마다 14개의 탄소가 존재하는데 이중 δc 31.4, 29.0, 22.3 그리고 13.7 ppm에 보이는 OD 4개의 탄소는 지방족 사슬의 끝부분에 해당하며 화학적 구조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탄소 피크가 겹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총 28개의 탄소 피크 중 24개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합성된 OD-gal 의 β-gal을 이용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하여 OD-gal에 gal이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 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독성이 감소된 첨가물 개발을 기대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후속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영문 초록
1, 2-Octanediol galactoside (OD-gal) has been synthesized from 1, 2-octanediol (OD), as a safer cosmetic preservative, using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β-galactosidase (β-gal). To confirm the molecular structure of synthesized OD-gal, mass spectrometry and NMR ( 1 H- and 13 C-) spectroscopy of OD-gal were carried out. In the reaction mixture, a sodium adduct ion of OD-gal (m/z=331.1732) was identified using mass spectrometry analysis. In addition, 1 H NMR spectrum of OD-gal showed multiple peaks corresponding to the galactosyl group, which is evidence of galactosylation on OD. Downfield proton peaks at δ H 4.39 ppm and multiple peaks from δ H 3.98~3.55 ppm were indicative of galactosylation on OD. Up field proton peaks at δ H 1.52~1.26 ppm and 0.89 ppm showed the presence of CH 2 and CH 3 protons of OD. 13 C NMR spectrum revealed the presence of 24 carbons suggestive of α- and β-anomers of OD-gal. Among 14 carbon peaks from each anomer, the 4 peaks at δ C 31.4, 29.0, 22.3, and 13.7 ppm were assigned to be overlapped showing only 24 peaks out of a total of 28 peaks. The mass value from mass spectrometry analysis of OD-gal, and 1 H and 13 C NMR spectral dat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cting structure of OD-gal. Finally, we identified a galactose molecule from the hydrolysate of OD-gal using β-gal. We are expecting that through future study it will eventually be able to develop a safe cosmetic preservative.
목차
1. 서 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태권 시범 선수들의 서전트 점프,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
- 피부 투과 개선을 위한 고형지질나노입자내 Ascorbyl glucoside 봉입 설계 및 특성화
- 살구씨 오일에 의한 화학적 손상모발의 개선 효과
- Mass spectrometry와 NMR Spectroscopy를 이용한 1, 2-Octanediol Galactoside의 효소합성 확인
- 모바일 홈트레이닝 활용에 따른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도 인과관계
- 소형병원의 e-서비스품질, 관계의 질, e-충성도의 영향관계
- 골프 퍼팅 시 운동학적 변인과 경사도 인지능력 간 상관성 분석
- Eruca sativa 에칠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의 미백 및항균효과를 이용한 화장품 응용연구
-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경험이 구매만족도와 지속적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세라마이드 함유 에토좀의 물성과 피부흡수
- n-부탄올 및 NaCl 수용액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TTAB에 의한 크레졸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에 따른 체력과 인지기능, ADL, IAD, 및 심리적 변인의 차이
- 요양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ND금연동기유발 프로그램이 흡연고등학생의 일산화탄소, 금연 자기효능감, 흡연일수, 1일 흡연량에 미치는 효과
-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대학교 교양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과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간의 관계
- 8주간의 맵시 운동 프로그램이 중년여성들의 보행 동작 시지면반력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의 병행이 노화쥐 골격근 유형별 혈관신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전기화학 캐퍼시터용 PVC기반 가교 음이온교환 멤브레인의 제조 및 특성
-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 대한 12주간의 가정기반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스포츠 코칭효능감의 원천(source)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1, 2-Octanediol과 1, 2-Octanediol Galactoside의 항균력 및 세포독성 비교연구
- 산딸기 잎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
-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소도구와 발의 불안정성 차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분석
- HaCaT cell에서 황련 추출물(Coptis chinensis)의 피부보습과 항염증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내장 지방조직의 혈관신생 조절에 대한 hesperidin과 quercetin의 영향
- 피부 건강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Derma Genie™-DLP121의 생리 활성 평가
- 친수성 곁가지를 함유한 콘텍트렌즈의 제조와 물리적 특성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