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업공간에서 미술품 색 계열과 방문객 만족도 관계의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311

영문명
A Study on the Moderating Fac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work Color Series and Visitor Satisfaction in Commercial Spaces Wang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왕연주(Wang, YeunJu) 이승현(Lee, SeungHyun) 배지혜(Bae, JiHye) 김선영(Kim, SunYoung)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58집, 121~15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업공간에 환경적 자극으로 설치된 미술품 색 계열이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 관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심리학 분야의 매장환경 연구에 적용된 자극(Stimulate)-유기체(Organism)-행동반응(Response)의 SOR 모형과 이를 이용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미술품 색 계열(S) -기분 및 공간 어메니티(O)-만족도(R)의 연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실험은미술품의 색 계열에 대해 난색과 한색이 설치된 이미지를 제작하여 두 집단 간 응답자가 반응하는 만족도 차이를 조사했다.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미술품 색계열은 난색(vs. 한색)이 설치된 경우 더 높은 방문객의 만족도를 유도한다는 것을발견했다. 또한, 이러한 영향 관계에 있어서 기분과 공간 어메니티 유형의 조절요인을 분석한 결과 미술품 색 계열의 난색(vs. 한색)이 주는 긍정적 기분을 평균보다더 높게 느꼈을 때, 공간 어메니티의 네 가지 유형 중 쾌적성과 심미성만을 더 높게 인지했을 때 각각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 결과는 상업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자극하는 미술품의 난색 계열이 한색 계열에 비해 방문객의 만족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것은 긍정적 기분 및 쾌적성, 심미성에 따라 강화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기존 문헌의 이해를 추가하고 효과적인마케팅 전략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lor series of artworks installed as environmental stimuli in commercial spaces on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based on the SOR model of Stimulate-Organism-Response applied to burial environment research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the preceding research using the SOR model, artwork color series(S)-mood and spaace amenity(O)-A research framework for satisfaction(R) was developed. In the experiment,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domestic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by producing images with two conditions depending on the case where warm colors and cold colors were installed for the color series of artwork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respondents corresponding to the two condition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warm color(vs. cold color) of the artwork color series induces higher visitor satisfac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trolling factors of mood and space amenity variables in this relationship of influenc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as found when the positive mood of warm colors(vs. cold colors) in the artwork color series was felt higher than the average. And, of the four types of space amenity, it was found that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ppeared when only comfort and aesthetics were measured as moderating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warm color series of artworks that stimulat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ommercial spaces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than the cold color series, and this is reinforced by positive mood, comfort, and aesthetics. It adds understanding and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for building an effective spatial image.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연주(Wang, YeunJu),이승현(Lee, SeungHyun),배지혜(Bae, JiHye),김선영(Kim, SunYoung). (2021).상업공간에서 미술품 색 계열과 방문객 만족도 관계의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58 (1), 121-152

MLA

왕연주(Wang, YeunJu),이승현(Lee, SeungHyun),배지혜(Bae, JiHye),김선영(Kim, SunYoung). "상업공간에서 미술품 색 계열과 방문객 만족도 관계의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58.1(2021): 121-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