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웜업과 쿨다운의 운동강도가 무산소성 최대운동수행 및 운동 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8

영문명
The Effects of Warm-up and Cool-down Intensity on Anaerobic Maximal Exercise and Recovery after Exercise
발행기관
대한운동학회
저자명
김선애(Kim, Sun-Ae) 박해찬(Park, Hae-Chan) 윤성진(Yoon, Sung-Jin)
간행물 정보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5권 제3호, 111~12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체육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7.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론]본 연구에서는 웜업과 쿨다운의 운동강도에 따른 효과를 유·무산소성 에너지 대사에 기준이 되는 무산소성 역치(anaerobic threshold; AT)를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성인 남성 13명을 대상으로 웜업과 쿨다운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무산소성 최대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웜업은 120%AT, AT, 80%AT, 점진적 증가, 그리고 웜업 통제로 구분하였으며, 혈중 젖산농도, 산소섭취량(VO2), 최대파워, 평균파워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쿨다운의 운동강도는 AT, 80%AT, 50%AT, 점진적 감소, 그리고 쿨다운 통제로 실시하였으며, 혈중 젖산농도와 이산화탄소배출량(VCO2)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산출된 결과에 따른 시점과 집단 간의 차이 및 상호작용은 이원변량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d ANOVA)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집단 간 차이에 따른 사후 분석은 Tukey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웜업의 운동강도에 따른 산소섭취량과 혈중 젖산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하지만, 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 했다. 한편, 쿨다운의 운동강도에 따른 이산화탄소배출량과 혈중 젖산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무산소성 최대운동을 위해 웜업은 AT 운동강도에서, 쿨다운은 50%AT와 점진적 감소에서, 각각 긍정적인 경향 및 효과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is study was to examinate the effects of warm-up and cool-down intensity using anaerobic threshold(AT) standard by which to aerobic and anaerobic energy metabolism. [METHOD] The subjects of this examination are 13 men who took anaerobic maximal exercise to know effect of warm-up and cool-down. Warm-up experiment divided into 120%AT, AT, 80%AT exercise intensity group, increased by steps from 80%AT to 120%AT group and warm-up control group when warm-up, who measured blood lactate, VO2, maximal power and average power. Cool-down experiment divided into AT, 80%AT, 50%AT exercise intensity group, increased by steps from 50%AT to AT, decreased by steps from AT to 50%AT group and cool-down control group, who measured blood lactate and VCO2. For better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and interactions between results of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ata, and Tukey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analysis. [RESUL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overall intensity of warm-up exercise in VO2 and blood lactat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anaerobic maximal exercise abilit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overall intensity of cool-down exercise in VCO2 and blood lactate. [CONCLUSION] AT exercise intensity group on warm-up expected to have a positively influence on improving anaerobic maximal exercise. At 50%AT exercise intensity group and decreased by steps from AT to 50%AT exercise group to have a positively influencing recovery after anearobic execise on cool-down intensity.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절차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애(Kim, Sun-Ae),박해찬(Park, Hae-Chan),윤성진(Yoon, Sung-Jin). (2013).웜업과 쿨다운의 운동강도가 무산소성 최대운동수행 및 운동 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15 (3), 111-122

MLA

김선애(Kim, Sun-Ae),박해찬(Park, Hae-Chan),윤성진(Yoon, Sung-Jin). "웜업과 쿨다운의 운동강도가 무산소성 최대운동수행 및 운동 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15.3(2013): 111-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