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슬링운동과 분절안정화운동이 요추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의 통증과 국소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2

영문명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and Segmental Stabilizing Exercise on the Pain and Activation of the Deep Muscle after Lumbar Disectomy
발행기관
대한운동학회
저자명
강희진(Kang, Hee-Jin) 안근옥(An, Keun-Ok) 옥정석(Oak, Jung-Sok)
간행물 정보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5권 제2호, 117~12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체육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론] 이 연구의 목적은 요추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슬링운동과 분절안정화운동을 적용하여 국소근육 활성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방법] 이 연구의 피험자는 추간판 절제술(discectomy)을 받은 환자 24명중 슬링운동군 12명(30.2±4.6세) 및 분절안정화운동군 12명(31.0±4.2세)으로 하였다. 운동처치는 수술 후 3주부터 11주까지 8주 동안 진행되었다. 사전·사후 검사는 3회 측정하였고 측정시기는 다음과 같다 : 운동전, 운동 후 4주, 운동 후 8주. 통증은 시각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복횡근과 다열근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두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이 연구의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횡근의 활성도는 기간과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열근의 활성도는 기간, 집단,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상사척도(VAS)는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집단과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요추추간판 절제술 후 환자의 국소근육 재활 운동 프로그램은 국소근육회복과 통증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efficacy of sling exercise and segmental stabilizing exercise on the pain and activation of the deep muscle for patients undergone lumbar disectomy. [METHOD] 24 patients lumbar disectom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the study and they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ne is a sling exercise group of 12(30.2±4.6) and the other is a segmental stabilizing exercise group of 12(31.0±4.2). The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from three weeks to eleven weeks for eight weeks after lumbar disectomy. The outcome were measured three time : before therapeutic exercise, after four weeks and after eight weeks again. The degree of pain was determined based on visual analog scale and changes in muscle thickness of transversus abdominis(TrA) and lumbar multifidus(Mf) were measured using real-time ultrasound imaging. [RES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TrA activation changed dependent on both period and group of the test significantly. however, no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group and the period was observed.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group, the period and interaction in lumbar multifidus activation.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e period in VA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group and interac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applied to local muscles(TrA and Mf) was effective for recovery(pain release and activation of local muscle) of patients after lumbar disectomy.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희진(Kang, Hee-Jin),안근옥(An, Keun-Ok),옥정석(Oak, Jung-Sok). (2013).슬링운동과 분절안정화운동이 요추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의 통증과 국소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15 (2), 117-128

MLA

강희진(Kang, Hee-Jin),안근옥(An, Keun-Ok),옥정석(Oak, Jung-Sok). "슬링운동과 분절안정화운동이 요추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의 통증과 국소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15.2(2013): 117-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