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흑산도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이용수 63

영문명
A Study on the Vegetation Succession of Daeheuksan Island
발행기관
국립공원연구원
저자명
조영준(Yeong-Jun Cho) 김하송(Ha-Song Kim)
간행물 정보
『국립공원연구지』제9권 제3호, 352~364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흑산도 삼림식생 구조를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군락분류, 군락구조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대흑산도의 10년, 30년, 50년 후의 식생 천이를 예측하였다. 대흑산도 식생군락은 상록활엽수림으로는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참식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이, 상록침엽수림은 곰솔군락, 곰솔-소사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소사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이, 낙엽활엽수림은 졸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예덕나무군락 등이 나타나고 있다. 대흑산도 식생 천이를 예측해보면 곰솔혼림, 소나무혼림에서는 상록활엽수군락인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가 10년 후에는 우점림으로 성장하면서 구실잣밤나무혼림, 후박나무혼림, 붉가시나무혼림이 되고, 30년, 50년 후에는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으로 상록활엽수림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대흑산도 일대 잠재 자연 식생의 주요종은 점차적으로 상록활엽수림의 분포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향후 식생천이가 진행되면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분포면적은 점차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구실잣밤나군락과 후박나무군락 분포역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대흑산도 일대의 삼림식생은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 등의 수종들이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종들과 관련된 군락들은 기후변화, 인위적인 간섭, 자연천이 요인들에 의하여 군락 대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forests on Daeheuksan Island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fication and structure of the colonies by employ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it was predicted how the forest vegetation on the study site would change after 10, 30, and 50 years respectively. The vegetation communities of Daeheuksan Island could be classified into following: included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re commun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Quercus acuta, Neolitsea sericea and Camellia joponica, etc.;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are communities of Pinus thunbergii, Pinus thunbergii-Carpinus turczaninowii, Pinus thunbergii-Camellia joponica,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Pinus thunbergii-Machilus thunbergii,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Eurya emarginata,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Carpinus turczaninowii, Pinus densiflora-Camellia joponica,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etc.; in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re communities of Quercus serrata, Carpinus turczaninowii and Mallotus joponica, etc. When predicting the changes in forest vegetation of Daeheuksan Island, it is expected that, in the mixed forests of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the community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such a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Machil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a will grow to be the dominant forest in 10years, being named by thus the mixed forest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Machil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a and, in 30 or 50 years from now, the colon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Machil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a will turn into the dominant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the island. The major species of latent natural vegetation around Daeheuksan Island are expected to gradually increase the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s the shift of forest vegetation processes further, the distributed area of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will gradually decrease while the distributed area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and Machilus thunbergii forests will increase. The forest vegetation around Daejukdo is composed of the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most layer such a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Machilus thunbergii, Quercus acuta, and Camellia joponica. The communities related to these species are rapidly changed due to climate change, artificial interference and natural transition factors Seems to be.

목차

서론
조사 내용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준(Yeong-Jun Cho),김하송(Ha-Song Kim). (2018).대흑산도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국립공원연구지, 9 (3), 352-364

MLA

조영준(Yeong-Jun Cho),김하송(Ha-Song Kim). "대흑산도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국립공원연구지, 9.3(2018): 352-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